학술논문
『사산비명』 행적부 서사의 문학적 성격과 의미
이용수 380
- 영문명
- Literary Characteristic and Significance of Narration of Life's Work Chapter in 『Sasanbimyeong』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김현화(Hyun hwa Kim)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第83輯, 73~10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최치원의 『사산비명』 행적부 서사의 문학적 특질에 주목했다. 비문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행적부를 중심으로 『사산비명』이 지니는 문학적 성격과 의미를 탐문해 보았다.
우선 Ⅱ장에서는 『사산비명』 행적부 서사의 문학적 성격을 살폈다. <낭혜화상비명>의 행적부 서사는 노정형 구법담으로 짜여 있다. 소년기부터 노년기에 이를 때까지 노정 위에서 구법을 펼친 무염국사의 행적이 만행과 보림이라는 이중 구조로 나타난다. <진감선사비명>의 행적부 서사는 고행형 이인담으로 짜여 있다. 혜소선사의 가계가 중국 혈족이었다는 점, 선문의 조종으로 자리 잡지 못한 채 입적했다는 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반증을 통한 이인담을 전개한다. 이러한 이인담의 현실성을 갖추기 위해 혜소선사의 고행을 부각한다.
<지증대사비명>의 행적부 서사는 포교형 계행담으로 짜여 있다. 도헌대사의 행적을 육이와 육시로 나누어 입체적으로 서술한다. 도헌대사의 계행담은 그가 앞서의 두 고승과 달리 도당 구법을 통하지 않고 국내에서 구법한 사실을 강조하기 위한 장치이다. 그가 계율에 엄격했던 고승이었고, 당대의 행동 철학을 보여 준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대숭복사비명>의 행적부 서사는 '숭복사'라는 공간을 활용한 만다라적 사유담을 보여준다. 속인의 유희처였던 공간이 불당으로 변하고, 그것이 다시 왕실의 유택으로 변화하는 개건 과정을 보여주며 만상이 하나로 귀결되고, 하나가 만상으로 귀결되는 화엄적 만다라 세계를 보여준다.
Ⅲ장에서는 『사산비명』 행적부 서사의 문학적 의미를 살폈다. 허구적 신이담의 편재를 통해 문학적 질감을 더한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네 편의 비문은 그 주인의 태몽담이나 출생담, 구법담 등에서 허구적 발상을 보여준다. 또한 액자 구조의 선문답 형태로 정중선을 표방한 사실, 그리고 상구보리 하화중생의 서사를 통해 행동 철학을 중시한 동중선을 표방한 사실에서 문학적 의미를 읽었다. 이는 당대의 혼란한 시대상을 하나로 통관하고, 각기 다른 사상이 반목하지 않고 화합의 장으로 나아가도록 꾀한 최치원의 창작의식에서 비롯한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and the scope of the literary field in Daejeon by considering academic achievement of literary studies relating to the graduate school system in Daejeon.
Literary criticism and literary studies were less important than the creation in the literary field in Daejeon since the Korean War until the 1970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doctoral dissertations which have been submitted actively in this areas since the late 1980s are an important text to form the literary field in Daejeon.
There are three main points in the body paragraphs. First, This paper examined why academic studies on literary discourse were formed relating to an education system from Korea's liberation to the end of the Korean war.
Second, this study looked into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doctoral dissertations in the field of modern literature from 1974 to 2013.
Third, doctoral dissertations before the 2000s mainly tended towards a literary genre, which means a general tendency of theses was distinguishable according to poems and novels.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행적부 서사의 문학적 성격
Ⅲ. 행적부 서사의 문학적 의미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전의 학술적 문학 담론과 교육 제도
- 박지원 <삼종형수록대부금성위겸오위도총부도총관증시충희공묘지명(三從兄綏祿大夫錦城尉兼五衛都摠府都摠管贈諡忠僖公墓誌銘)>의 구조와 서술전략
- 질곡(桎梏)과 회한(悔恨)의 시학
- 記述焦點의 관점에서 본 與의 기능
- 어휘 의미의 확장 양상과 화용적 의미
- 『만인보』의 인물 호명과 서사 진술 방식 연구
- 고려인 시문학에 나타난 주제적 특성 연구
- 박재삼 시의 연민의 정서 연구
- 全州 李氏의 <바날졔문이라> 小考
- <九雲夢>과 <金剛經>의 상관성 연구
- 『사산비명』 행적부 서사의 문학적 성격과 의미
- 이문열의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에 나타난 등장인물들의 의식세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