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全州 李氏의 <바날졔문이라> 小考
이용수 119
- 영문명
- A Study on
of Lady Lee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강현경(Hyun Kyung Kang)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第83輯, 53~7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바날졔문이라>는 '孺人 全州 李氏'가 지은 국문의 '祭針文'으로, 현재 樂隱文庫 (故 樂隱 姜銓爕 敎授의 소장본 문고)에 보존되어 있어서 제대로 원문을 파악할 수 있다. 현재 비록 작자의 생평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은 고찰하기 어려워도, 작자는 신변의 작은 사물에 대한 애착심이 풍부하여 소중하게 지니고 있던 바늘에 대한 상실의 지경에 이르러서 주체하지 못하는 감정으로 제문까지 지을 정도로 풍부한 감성과 문장력을 갖춘 인물이라고 여겨진다. 그런 문학적 감수성의 표현으로 본 제문을 남겼지만, 아쉽게도 여타의 작품이나 생평 관련의 제반 사항을 파악할 수 없는 실정이다.
작자가 본 작품을 짓게 된 동기를 살펴보면, 작자는 제침문을 짓기 한 해 전에 모친이 바늘 하나를 주면서 소중히 잘 쓰라는 당부를 하였는데 허망하게 부러뜨리게 되자, 한 해 동안 애지중지 곁에 두고 옷 만드는 일을 도모하였던 바늘의 공로를 치하하며, 자신이 잘못 간수하여 바늘을 상하게 만들어 마침내 제 구실을 못하게 된 상황을 비통하게 여기고서 애도하는 심경을 술회한 것으로 파악된다.
본 작품은 바늘의 불행한 사태에 작자 자신의 불행한 처지를 가탁하여 감정을 이입시킨 것이 아니라, 단지 애지중지 사용했던 바늘의 불행한 결과를 안타깝게 여기어 바늘에 인격을 부여하여 애도의 심정을 토로한 의인체 수필로 기록하였던 것이다. 유씨 부인의 <弔針文>이 세상에 알려진 이후, 이제야 또다시 발굴된 전주 이씨의 <바날졔문이라>를 통하여 조선시대 여성의 사물에 대한 섬세한 감성과 유려한 문체, 의인화의 기법으로 이뤄진 제침문류의 작품을 재조명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수 있게 되었다. 다시 말해서, <바날졔문이라>는 한국고전여성수필의 새로운 작품으로서 그 가치를 충분히 인정받을 수 있다고 본다.
영문 초록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는 말
2. 서지 사항
3. 작품의 창작과 표현
4. 여성국문수필로서의 가치
5. 맺는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전의 학술적 문학 담론과 교육 제도
- 박지원 <삼종형수록대부금성위겸오위도총부도총관증시충희공묘지명(三從兄綏祿大夫錦城尉兼五衛都摠府都摠管贈諡忠僖公墓誌銘)>의 구조와 서술전략
- 질곡(桎梏)과 회한(悔恨)의 시학
- 記述焦點의 관점에서 본 與의 기능
- 어휘 의미의 확장 양상과 화용적 의미
- 『만인보』의 인물 호명과 서사 진술 방식 연구
- 고려인 시문학에 나타난 주제적 특성 연구
- 박재삼 시의 연민의 정서 연구
- 全州 李氏의 <바날졔문이라> 小考
- <九雲夢>과 <金剛經>의 상관성 연구
- 『사산비명』 행적부 서사의 문학적 성격과 의미
- 이문열의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에 나타난 등장인물들의 의식세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