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SWMM 매개변수 민감도를 고려한 도시지하저류조 최적위치 선정
이용수 42
- 영문명
- Determination of Optimal Locations of Urban Subsurface Storage considering SWMM Parameter Sensitivity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이정호 송양호 조덕준 Lee, Jung Ho Song, Yang Ho Jo, Deok Jun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3권4호, 295~302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기후변화 및 도시화로 인한 도시유역의 침수위험은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저감하기 위한 방법으로 도시유역 내 지하저류조 설치가 논의되고 있다. 이에 따라 도시유역에서의 지하저류조와 관련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나, 저류조 용량 및 위치의 문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연구는 아직 미진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하저류조 설치 시 시설 가능 개수에 따른 도시지하저류조 최적위치 및 규모 선정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최적화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한 최적화 기법으로는 화음탐색법(Harmony Search, HS)을 이용하였으며, 수리 수문 해석을 위하여 대표적 도시유출 해석 모형인 SWMM(Storm Water Management Model) 5.0 DLL을 연계 구성하였다. 또한 SWMM의 매개변수중 관거의 조도계수 및 맨홀의 손실계수에 따른 월류 발생 양상에 대한 민감도를 분석하였으며, 지하저류조의 최적위치 선정에 이를 고려하였다. 개발된 최적위치 선정 모형은 부산 BEXCO 유역에 모의 적용되었으며, 지하저류조 설치 가능 개수를 변화시켜 가면서 각각의 경우에 따른 최적의 위치 선정 및 침수 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영문 초록
Recently, the danger of flooding has increased due to the result of extreme climate change and urbanization around the metropolitan areas. To prevent this kind of problems, installing underground retaining facility around the metropolitan basin has been discussed. Even though the several researches related to the underground retaining facility are on progress, the general consideration of the capacity and the location is unsatisfying. Therefore, this research has developed an optimal model which would help to decide an adequate capacity and location according to the numbers of the facilities that need to be installed. For this optimal technique, Harmony Search (HS) is utilized, and SWMM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5.0 DLL is constructed accordingly for the better interpretation of hydraulic, hydrological. And the sensitivity analysis was performed for SWMM parameters such as manning`s roughness coefficient and manhole loss coefficient which affect overflow in the sewer network. And this sensitivity analysis was considered to determine the optimal positions of storages. The developed optimal model has been simulated in BEXCO district in Busan, and it has determined the positions according to the different numbers of the facilities which need to be installed.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후변화를 고려한 재해환경 변화 분석: 2. 침수위험지구 영향평가
- 제한급수 계획을 위한 수리계획 모형의 기본 설계
- 저심도 철도 시스템에서의 열차 및 차량의 이동하중에 의한 동적거동에 관한 연구
- 공기층의 두께와 소재에 따른 방음패널의 차음효과
- 다짐 및 강도특성을 고려한 보강토 옹벽 뒷채움재로서 Caliche의 적합성 검토
- 한계체적변형률 계측을 통한 최적발파압력 결정
- SWMM-LID를 이용한 상습침수유역 내 유출저감효과 분석
- 남강댐방류로 인한 사천만의 퇴적량 추정
- SWMM 매개변수 민감도를 고려한 도시지하저류조 최적위치 선정
-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섬유시트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실험적 내진성능평가
- SS 농도를 고려한 내성천 하류의 유사특성과 하상변동 예측
- 무단횡단 금지를 위한 차선분리대 신뢰성 평가
- CVM을 이용한 도시방재시설의 경제적 가치 평가에 관한 연구 -경기도 소방서를 중심으로-
- 우리나라의 지역별 홍수피해 특성을 고려한 홍수피해 취약성 평가
- HEC-HMS/RAS와 HEC-GeoRAS 모형을 이용한 홍수범람 시나리오 수립 및 분석
- EPANET 기반의 Pressure Driven Analysis 모형 개발 및 적용
- GRAPHITE/EPOXY 복합재료의 휨 특성에 관한 연구
- 기후변화를 고려한 재해환경 변화 분석: 1. 홍수위 분석
- 소방용 가죽제안전화 착용이 신체평형성에 미치는 영향
- 인간의 집단율동에 의한 고층철골건물의 연직진동평가
- X-Ray 및 수중중량을 이용한 투수성 콘크리트의 간극률 산정
- 침윤 소화약제의 성분분석 연구
- 하이브리드 비좌굴가새를 이용한 고층건물의 사용성 평가
- 비내진설계 내력벽식구조물의 슬래브 내진성능 향상방안 연구
- 진동해머의 기계적 진동특성에 대한 연구
- 수자원분야 활용을 위한 최적 강수격자크기 및 관측소밀도 연구
- 다양한 곡률을 갖는 터널에서의 연속주행 차량에 따른 풍하중으로 인한 강재터널라이닝의 동적거동분석
- 천연가스 플랜트 건설단계의 탄소배출량 산정 및 저감방안
- 피해 방파제 소파블록 중량 및 세굴 검토
- 사연댐 운영수위 하강에 따른 반구대 암각화지점의 수리학적 특성 분석
- 공간 강수량 정확도 향상을 위한 공간상세화 방법 평가
- 원자력발전소 증기발생기 지지대 볼트 연결부 건전성 평가
- 열팽창 효과를 직접 고려한 미래 지구온난화에 의한 북서태평양에서의 상세 해수면 상승 연구
- APR에서 사용하는 SDS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토사터널 붕괴방지를 위한 지반보강방안에 관한 연구
- 하이브리드 비좌굴가새 내진성능에 대한 실험적 연구
- 이중관 충전콘크리트 구조의 해상풍력 타워 적용성 연구
- 지구내 저류시설의 유출저감효과 정량화 및 적정용량 결정
- 수중천퇴상에서 규칙파 및 일방향 불규칙파의 전파변형에 대한 실험
- 원심모형실험을 이용한 콘크리트-사력 복합댐 접속부의 지진 시 거동 고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