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침윤 소화약제의 성분분석 연구
이용수 78
- 영문명
- A Research of Component Analysis for Wetting Agent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김성수 이동호 Kim, Sung Soo Rie, Dong Ho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3권4호, 165~170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침윤 소화약제는 혼합된 소화용수의 표면장력을 저하시켜 침투성을 향상시키는 약제로 다공성 적층물질의 화제를 진압하기 위하여 주로 사용된다. 수계소화는 가장 일반적 소화기술로 조달 운반이 쉽고 비열, 증발 잠열이 커 냉각효과가 우수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목조건물 및 다공성 물질, 적층 물질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심부화재로 전이되기 쉬우며, 대상 물질의 특성상 재발화의 가능성이 있는 물질의 심부까지 소화용수가 침투되기 어렵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소화용수에 침윤 소화약제를 혼합하여 침투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연소물질 심부의 화재를 진압한다. 이에 대한 기준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심부화재용 소화용수 즉, 침윤소화약제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 기법의 필요성 또한 커지고 있다. 침윤 소화약제는 표면장력을 저하시키기 위하여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제품별 특성으로 분류되는 종류와 그 특성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가 없다. 그러나 제품별 특성을 감안함과 동시에 공통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해당 약제의 성분상 특성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분석학적 기법을 통하여 침윤소화약제의 성분에 대하여 기초 연구를 실시하고, 침윤소화약제의 공통 성분 및 제품별 특성물질을 연구하였다. 또한 이를 이용하여 제품별 특성 성분 데이터 및 지문영역을 확보함으로써 일치성 평가를 실시, 인증을 득한 소화약제의 사후 관리 기법으로 활용하고자 기초연구를 실시하였다.
영문 초록
Wetting agent was used for extinguish at the porosity and stacked substance fire. It makes lower surface tension for upgrade permeation performance. Most common extinguish technique, water-based fire extinguishing has advantage of being faster cooling effect. Because of water has big evaporative latent heat. When wooden building, porosity and stacked substance were being burned, it is prone to deep seated fire. And deep seated fire is hard to extinguish because water can`t permeate into where a fire source were located. For it overcome difficulty to extinguish, wetting agent were mixed to water for upgrade permeation performance. Recently, standard of wetting agent is needed. Surfactant was mixed to wetting agent for lower surface tension. But, it is unknown that wetting agent was included which kinds of surfactant. Component analysis is needed for assessment a common performance and characteristic by products. In this study, component of wetting agent was studied common and characteristic component by basic research. So, result of this study was used making fingerprint region. It is proper application for post management technique of certificated product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후변화를 고려한 재해환경 변화 분석: 2. 침수위험지구 영향평가
- 제한급수 계획을 위한 수리계획 모형의 기본 설계
- 저심도 철도 시스템에서의 열차 및 차량의 이동하중에 의한 동적거동에 관한 연구
- 공기층의 두께와 소재에 따른 방음패널의 차음효과
- 다짐 및 강도특성을 고려한 보강토 옹벽 뒷채움재로서 Caliche의 적합성 검토
- 한계체적변형률 계측을 통한 최적발파압력 결정
- SWMM-LID를 이용한 상습침수유역 내 유출저감효과 분석
- 남강댐방류로 인한 사천만의 퇴적량 추정
- SWMM 매개변수 민감도를 고려한 도시지하저류조 최적위치 선정
-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섬유시트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실험적 내진성능평가
- SS 농도를 고려한 내성천 하류의 유사특성과 하상변동 예측
- 무단횡단 금지를 위한 차선분리대 신뢰성 평가
- CVM을 이용한 도시방재시설의 경제적 가치 평가에 관한 연구 -경기도 소방서를 중심으로-
- 우리나라의 지역별 홍수피해 특성을 고려한 홍수피해 취약성 평가
- HEC-HMS/RAS와 HEC-GeoRAS 모형을 이용한 홍수범람 시나리오 수립 및 분석
- EPANET 기반의 Pressure Driven Analysis 모형 개발 및 적용
- GRAPHITE/EPOXY 복합재료의 휨 특성에 관한 연구
- 기후변화를 고려한 재해환경 변화 분석: 1. 홍수위 분석
- 소방용 가죽제안전화 착용이 신체평형성에 미치는 영향
- 인간의 집단율동에 의한 고층철골건물의 연직진동평가
- X-Ray 및 수중중량을 이용한 투수성 콘크리트의 간극률 산정
- 침윤 소화약제의 성분분석 연구
- 하이브리드 비좌굴가새를 이용한 고층건물의 사용성 평가
- 비내진설계 내력벽식구조물의 슬래브 내진성능 향상방안 연구
- 진동해머의 기계적 진동특성에 대한 연구
- 수자원분야 활용을 위한 최적 강수격자크기 및 관측소밀도 연구
- 다양한 곡률을 갖는 터널에서의 연속주행 차량에 따른 풍하중으로 인한 강재터널라이닝의 동적거동분석
- 천연가스 플랜트 건설단계의 탄소배출량 산정 및 저감방안
- 피해 방파제 소파블록 중량 및 세굴 검토
- 사연댐 운영수위 하강에 따른 반구대 암각화지점의 수리학적 특성 분석
- 공간 강수량 정확도 향상을 위한 공간상세화 방법 평가
- 원자력발전소 증기발생기 지지대 볼트 연결부 건전성 평가
- 열팽창 효과를 직접 고려한 미래 지구온난화에 의한 북서태평양에서의 상세 해수면 상승 연구
- APR에서 사용하는 SDS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토사터널 붕괴방지를 위한 지반보강방안에 관한 연구
- 하이브리드 비좌굴가새 내진성능에 대한 실험적 연구
- 이중관 충전콘크리트 구조의 해상풍력 타워 적용성 연구
- 지구내 저류시설의 유출저감효과 정량화 및 적정용량 결정
- 수중천퇴상에서 규칙파 및 일방향 불규칙파의 전파변형에 대한 실험
- 원심모형실험을 이용한 콘크리트-사력 복합댐 접속부의 지진 시 거동 고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