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간 강수량 정확도 향상을 위한 공간상세화 방법 평가
이용수 102
- 영문명
- Evaluation of Spatial Downscaling Methods for Enhancement of Spatial Precipitation Estimation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황석환 함대헌 Hwang, Seok Hwan Ham, Dae Heon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3권4호, 149~16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8.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관측정밀도 보다 높은 강수량 공간상세화를 위해서는 공간 내삽법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와 기본적인 특성 평가가 선행되어야, 향후 방법적인 면에서 논란의 여지를 줄이고 상세화된 자료에 대한 불확실성도 가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간내삽방법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특정 지역 혹은 특정 사상 선정으로 인한 결과의 임의성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우리나라 전역의 10년(2001-2010년)치 기상청 AWS지점 일자료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역거리가중법(Inverse distance weighted method; IDW), 크리깅법(Ordinary kriging; KRG), 다중이차내삽법(Multi-quadric interpolation method; MQI)을 적용하여 $5km{\times}5km$ 격자강수량을 재산정 하였다. 각 내삽 방법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위하여 기준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티센면적가중법(Thiessen polygon method; TSN)을 사용하였다. 2001년부터 2010년까지 10년 동안의 일강수량 공간 상세화 결과를 중권역 단위로 비교하였을 때, 기상청 AWS 관측망을 사용하는 경우 전체 평균에 있어 방법 간 차이는 크지 않았다. 그러나 관측소가 희박한 지역과 개별호우사상의 경우는 지역특성별로 방법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estimate a reliable spatial precipitation which has high resolution sub-measuring scale, a systematical research for spatial interpolation methods and evaluation of characteristics of them are required. This will be able to reduce disputes on selection of methodologies and estimate uncertainties of downscaled data. Therefore, we assessed the spatial interpolation methods using automatic weather system (AWS)`s daily data of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during past 10 years (2001-2010), so as to reduce arbitrary interpretations of the result by selecting particular regions or storm events. In addition, we adopted inverse distance weighted method (IDW), ordinary kriging method (KRG) and multi-quadric interpolation method (MQI) to produce $5km{\times}5km$ grid precipitation. For quantitative evaluations of each interpolation method, thiessen polygon method (TSN) was used as a comparison method. When comparing the gridded daily precipitation for the past 10 years (2001-2010) by middle scale basins, differences of whole average for each methods were not significant when using KMA`s AWS network. However, in case of regions where stations were sparse and each storm even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ed caused by interpolation methods or characteristics of region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후변화를 고려한 재해환경 변화 분석: 2. 침수위험지구 영향평가
- 제한급수 계획을 위한 수리계획 모형의 기본 설계
- 저심도 철도 시스템에서의 열차 및 차량의 이동하중에 의한 동적거동에 관한 연구
- 공기층의 두께와 소재에 따른 방음패널의 차음효과
- 다짐 및 강도특성을 고려한 보강토 옹벽 뒷채움재로서 Caliche의 적합성 검토
- 한계체적변형률 계측을 통한 최적발파압력 결정
- SWMM-LID를 이용한 상습침수유역 내 유출저감효과 분석
- 남강댐방류로 인한 사천만의 퇴적량 추정
- SWMM 매개변수 민감도를 고려한 도시지하저류조 최적위치 선정
-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섬유시트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실험적 내진성능평가
- SS 농도를 고려한 내성천 하류의 유사특성과 하상변동 예측
- 무단횡단 금지를 위한 차선분리대 신뢰성 평가
- CVM을 이용한 도시방재시설의 경제적 가치 평가에 관한 연구 -경기도 소방서를 중심으로-
- 우리나라의 지역별 홍수피해 특성을 고려한 홍수피해 취약성 평가
- HEC-HMS/RAS와 HEC-GeoRAS 모형을 이용한 홍수범람 시나리오 수립 및 분석
- EPANET 기반의 Pressure Driven Analysis 모형 개발 및 적용
- GRAPHITE/EPOXY 복합재료의 휨 특성에 관한 연구
- 기후변화를 고려한 재해환경 변화 분석: 1. 홍수위 분석
- 소방용 가죽제안전화 착용이 신체평형성에 미치는 영향
- 인간의 집단율동에 의한 고층철골건물의 연직진동평가
- X-Ray 및 수중중량을 이용한 투수성 콘크리트의 간극률 산정
- 침윤 소화약제의 성분분석 연구
- 하이브리드 비좌굴가새를 이용한 고층건물의 사용성 평가
- 비내진설계 내력벽식구조물의 슬래브 내진성능 향상방안 연구
- 진동해머의 기계적 진동특성에 대한 연구
- 수자원분야 활용을 위한 최적 강수격자크기 및 관측소밀도 연구
- 다양한 곡률을 갖는 터널에서의 연속주행 차량에 따른 풍하중으로 인한 강재터널라이닝의 동적거동분석
- 천연가스 플랜트 건설단계의 탄소배출량 산정 및 저감방안
- 피해 방파제 소파블록 중량 및 세굴 검토
- 사연댐 운영수위 하강에 따른 반구대 암각화지점의 수리학적 특성 분석
- 공간 강수량 정확도 향상을 위한 공간상세화 방법 평가
- 원자력발전소 증기발생기 지지대 볼트 연결부 건전성 평가
- 열팽창 효과를 직접 고려한 미래 지구온난화에 의한 북서태평양에서의 상세 해수면 상승 연구
- APR에서 사용하는 SDS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토사터널 붕괴방지를 위한 지반보강방안에 관한 연구
- 하이브리드 비좌굴가새 내진성능에 대한 실험적 연구
- 이중관 충전콘크리트 구조의 해상풍력 타워 적용성 연구
- 지구내 저류시설의 유출저감효과 정량화 및 적정용량 결정
- 수중천퇴상에서 규칙파 및 일방향 불규칙파의 전파변형에 대한 실험
- 원심모형실험을 이용한 콘크리트-사력 복합댐 접속부의 지진 시 거동 고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