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SWMM-LID를 이용한 상습침수유역 내 유출저감효과 분석
이용수 182
- 영문명
- An Analysis of Runoff Mitigation Effect Using SWMM-LID Model for Frequently Inundated Basin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신동수 박재범 강두기 조덕준 Shin, Dong Soo Park, Jae Beom Kang, Doo Kee Jo, Deok Jun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3권4호, 303~310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기후변화에 의한 기상현상은 국지성 집중호우, 돌발홍수 등을 발생시켜 많은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가져오고 있다. 이로 인해 기록적인 폭우의 발생이 증가되고 있으며, 도시개발로 인해 자연공간이 감소하여 개발 전 지표면이 가지고 있던 유역 내 저류 및 지연효과가 현저하게 감소하고 시가지의 확대와 도로포장 등 유역 내 불투수층의 증가로 인하여 홍수유출량과 첨두유량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원인으로 유출 출구점까지의 도달시간은 자연유역에 비해 현격하게 짧아져 과거 자연하천 유역과는 다른 수문학적 특성을 가지게 되며, 도시집중 현상으로 택지 및 시설부지의 부족현상이 가중됨으로써 하천범람 구역이나 홍수우려가 있는 범람원내 저지대까지 도시화가 이루어짐으로써 치수상 안전도가 상대적으로 저하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유출해석모형인 SWMM 내 LID 모듈을 이용하여 대상유역내 적용 가능한 LID 기법 기술요소를 분석하여 적용하고 LID 기법에 따른 유출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LID 영향 분석 시나리오는 각 기법의 적용에 따른 영향과 LID 적용전, 옥상녹화적용, 투수성포장의 적용 등 LID 3개의 시나리오를 선정하여 적용하였다. 시나리오 적용결과, 시나리오 A에 비하여 시나리오 B는 288.52ton, 시나리오 C는 240.26ton이 저감되었으며 각각 15.62%, 13.01%의 유출량 저감효과를 보였다.
영문 초록
Recently meteorological phenomena caused by climate change have brought localized heavy rainfalls, flash-floods causing severe damage for human-life and property. They also increase the occurrence of record-breaking rainfall. Development in urban area decreases the portion of open spaces, landscapes, leading to significant diminution of storage and detention function of the basin. The expansion of impervious areas increases the extent of peak-runoff and runoff volume, especially the shorter time of concentraion due to development makes the basin have different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compared to pre-development. In addition, urbanization worsen the requirement of site for residence and public facility so that even floodplain and inundated district are urbanized threatening safety for flood control. In this study, applicable LID techniques are analyzed and implemented using LID modules of SWMM, which is the model for urban stormwater-runoff management in the project area. Effects of implementing LID practices are also assessed and reviewed. The result shows that scenario B and C ruduced 288.52ton(15.62%), 240.26ton(13.01%) each in runoff simulations compared to scenario A.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후변화를 고려한 재해환경 변화 분석: 2. 침수위험지구 영향평가
- 제한급수 계획을 위한 수리계획 모형의 기본 설계
- 저심도 철도 시스템에서의 열차 및 차량의 이동하중에 의한 동적거동에 관한 연구
- 공기층의 두께와 소재에 따른 방음패널의 차음효과
- 다짐 및 강도특성을 고려한 보강토 옹벽 뒷채움재로서 Caliche의 적합성 검토
- 한계체적변형률 계측을 통한 최적발파압력 결정
- SWMM-LID를 이용한 상습침수유역 내 유출저감효과 분석
- 남강댐방류로 인한 사천만의 퇴적량 추정
- SWMM 매개변수 민감도를 고려한 도시지하저류조 최적위치 선정
-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섬유시트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실험적 내진성능평가
- SS 농도를 고려한 내성천 하류의 유사특성과 하상변동 예측
- 무단횡단 금지를 위한 차선분리대 신뢰성 평가
- CVM을 이용한 도시방재시설의 경제적 가치 평가에 관한 연구 -경기도 소방서를 중심으로-
- 우리나라의 지역별 홍수피해 특성을 고려한 홍수피해 취약성 평가
- HEC-HMS/RAS와 HEC-GeoRAS 모형을 이용한 홍수범람 시나리오 수립 및 분석
- EPANET 기반의 Pressure Driven Analysis 모형 개발 및 적용
- GRAPHITE/EPOXY 복합재료의 휨 특성에 관한 연구
- 기후변화를 고려한 재해환경 변화 분석: 1. 홍수위 분석
- 소방용 가죽제안전화 착용이 신체평형성에 미치는 영향
- 인간의 집단율동에 의한 고층철골건물의 연직진동평가
- X-Ray 및 수중중량을 이용한 투수성 콘크리트의 간극률 산정
- 침윤 소화약제의 성분분석 연구
- 하이브리드 비좌굴가새를 이용한 고층건물의 사용성 평가
- 비내진설계 내력벽식구조물의 슬래브 내진성능 향상방안 연구
- 진동해머의 기계적 진동특성에 대한 연구
- 수자원분야 활용을 위한 최적 강수격자크기 및 관측소밀도 연구
- 다양한 곡률을 갖는 터널에서의 연속주행 차량에 따른 풍하중으로 인한 강재터널라이닝의 동적거동분석
- 천연가스 플랜트 건설단계의 탄소배출량 산정 및 저감방안
- 피해 방파제 소파블록 중량 및 세굴 검토
- 사연댐 운영수위 하강에 따른 반구대 암각화지점의 수리학적 특성 분석
- 공간 강수량 정확도 향상을 위한 공간상세화 방법 평가
- 원자력발전소 증기발생기 지지대 볼트 연결부 건전성 평가
- 열팽창 효과를 직접 고려한 미래 지구온난화에 의한 북서태평양에서의 상세 해수면 상승 연구
- APR에서 사용하는 SDS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토사터널 붕괴방지를 위한 지반보강방안에 관한 연구
- 하이브리드 비좌굴가새 내진성능에 대한 실험적 연구
- 이중관 충전콘크리트 구조의 해상풍력 타워 적용성 연구
- 지구내 저류시설의 유출저감효과 정량화 및 적정용량 결정
- 수중천퇴상에서 규칙파 및 일방향 불규칙파의 전파변형에 대한 실험
- 원심모형실험을 이용한 콘크리트-사력 복합댐 접속부의 지진 시 거동 고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