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우리나라의 지역별 홍수피해 특성을 고려한 홍수피해 취약성 평가
이용수 180
- 영문명
- Assessment of Flood Damage Vulnerability Considering Regional Flood Damage Characteristics in South Korea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이민우 김태웅 문건우 Lee, Min Woo Kim, Tae-Woong Moon, Geon Woo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3권4호, 245~25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8.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극한강우사상과 유형별 홍수피해와의 관계분석을 통하여 홍수피해 특성을 구분하였으며 이를 고려한 지역별 홍수피해 취약성을 평가할 수 있는 홍수피해 취약성 지수(Flood Damage Vulnerability, FDVI)를 제안하였다. 홍수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나타내는 민감도(Sensitivity) 지표로서 기상 수문학적 지표와 홍수피해의 방어능력 부족을 나타내는 적응능력(Adaptation Capacity) 지표로서 지형 사회 경제적 피해지표들과의 관계분석를 통한 홍수피해 특성을 분석한 후, 홍수피해 특성에 대한 홍수피해 취약성 등급의 평균하여 홍수피해 취약성 지수를 산정하였다. 이 지수를 적용하여 우리나라 228개의 시군구의 홍수피해 취약성을 평가하였으며,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로 자료기간을 구분하여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홍수피해 취약성을 지도로 나타내어 변화 추이를 시 공간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홍수피해 취약성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지역적으로 변동을 나타내고 있으며, 최근의 홍수피해 취약성이 가장 높은 지역은 강원도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홍수피해 취약성 지수는 홍수피해에 대한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대비 대응 복구 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flood damage characteristics were classified by analyzing relationships of different types of flood damage with extreme rainfall. The Flood Damage Vulnerability Index (FDVI) was proposed considering regional flood damage characteristics in South Korea. The FDVI was calculated by averaging Flood Damage Vulnerability Rating (FDVr). The FDVr was determined based on the classification flood damage characteristics through introducing the sensitivity and adaptation capacity over the flood damage. The sensitivity is a hydrometeorological indicator which represents the scale of influence over the flood damage, whereas the adaptation capacity is an indicator of geographical, social and economic ability which represents the scale of defensive ability over flood damage. Using the FDVI, this study evaluated the flood damage vulnerability for 228 administrative districts in South Korea. In order to analyze the variability of flood damage vulnerability, the data period were divided into 1970s, 1980s, 1990s and 2000s.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f flood damage vulnerability were also analyzed by constructing the FDVI map. The results show that the flood damage vulnerability was changed regionally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The recent highest flood damage vulnerability area was Gangwon-do. The FDVI would be utilized as a basic data for planning more rational countermeasures of preparation, response and restoration of flood damag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후변화를 고려한 재해환경 변화 분석: 2. 침수위험지구 영향평가
- 제한급수 계획을 위한 수리계획 모형의 기본 설계
- 저심도 철도 시스템에서의 열차 및 차량의 이동하중에 의한 동적거동에 관한 연구
- 공기층의 두께와 소재에 따른 방음패널의 차음효과
- 다짐 및 강도특성을 고려한 보강토 옹벽 뒷채움재로서 Caliche의 적합성 검토
- 한계체적변형률 계측을 통한 최적발파압력 결정
- SWMM-LID를 이용한 상습침수유역 내 유출저감효과 분석
- 남강댐방류로 인한 사천만의 퇴적량 추정
- SWMM 매개변수 민감도를 고려한 도시지하저류조 최적위치 선정
-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섬유시트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실험적 내진성능평가
- SS 농도를 고려한 내성천 하류의 유사특성과 하상변동 예측
- 무단횡단 금지를 위한 차선분리대 신뢰성 평가
- CVM을 이용한 도시방재시설의 경제적 가치 평가에 관한 연구 -경기도 소방서를 중심으로-
- 우리나라의 지역별 홍수피해 특성을 고려한 홍수피해 취약성 평가
- HEC-HMS/RAS와 HEC-GeoRAS 모형을 이용한 홍수범람 시나리오 수립 및 분석
- EPANET 기반의 Pressure Driven Analysis 모형 개발 및 적용
- GRAPHITE/EPOXY 복합재료의 휨 특성에 관한 연구
- 기후변화를 고려한 재해환경 변화 분석: 1. 홍수위 분석
- 소방용 가죽제안전화 착용이 신체평형성에 미치는 영향
- 인간의 집단율동에 의한 고층철골건물의 연직진동평가
- X-Ray 및 수중중량을 이용한 투수성 콘크리트의 간극률 산정
- 침윤 소화약제의 성분분석 연구
- 하이브리드 비좌굴가새를 이용한 고층건물의 사용성 평가
- 비내진설계 내력벽식구조물의 슬래브 내진성능 향상방안 연구
- 진동해머의 기계적 진동특성에 대한 연구
- 수자원분야 활용을 위한 최적 강수격자크기 및 관측소밀도 연구
- 다양한 곡률을 갖는 터널에서의 연속주행 차량에 따른 풍하중으로 인한 강재터널라이닝의 동적거동분석
- 천연가스 플랜트 건설단계의 탄소배출량 산정 및 저감방안
- 피해 방파제 소파블록 중량 및 세굴 검토
- 사연댐 운영수위 하강에 따른 반구대 암각화지점의 수리학적 특성 분석
- 공간 강수량 정확도 향상을 위한 공간상세화 방법 평가
- 원자력발전소 증기발생기 지지대 볼트 연결부 건전성 평가
- 열팽창 효과를 직접 고려한 미래 지구온난화에 의한 북서태평양에서의 상세 해수면 상승 연구
- APR에서 사용하는 SDS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토사터널 붕괴방지를 위한 지반보강방안에 관한 연구
- 하이브리드 비좌굴가새 내진성능에 대한 실험적 연구
- 이중관 충전콘크리트 구조의 해상풍력 타워 적용성 연구
- 지구내 저류시설의 유출저감효과 정량화 및 적정용량 결정
- 수중천퇴상에서 규칙파 및 일방향 불규칙파의 전파변형에 대한 실험
- 원심모형실험을 이용한 콘크리트-사력 복합댐 접속부의 지진 시 거동 고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