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자원분야 활용을 위한 최적 강수격자크기 및 관측소밀도 연구
이용수 33
- 영문명
- Study on The Optimal Grid-size and Station-density for Water Resources Application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황석환 함대헌 Hwang, Seok Hwan Ham, Dae Heon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3권4호, 137~148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8.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보다 안전하고 경제적인 강수 관측망 운용과 공간 강수자료를 수자원분야에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에서, 현재 기상청 관할 관측소 밀도의 적정성 검토와 공간 강수량 생산 시 적정 격자크기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AWS 관측소가 가장 조밀한 서울지역에 대해 관측소 밀도별 격자 크기별 면적평균 강수량 및 추정된 격자강수량의 공간 정확도를 비교하여 보았다. 서울지역의 29개 관측소를 대상으로, 2001~2010년 기상청 AWS 및 ASOS 일강수량 자료와 다중이차내삽법(Multi-quadric interpolation method; MQI)을 사용하여 관측소 밀도별, 격자 크기별 격자강수량을 산정하였다. 적정 관측밀도 분석을 위해 29개 관측소 일 때(관측소간 평균거리 약 5 km), 20개 관측소 일 때(관측소간 평균거리 약 6 km) 그리고, 7개 관측소 일 때(관측소간 평균거리 약 10 km)로 구분하고, 적정 격자크기 분석을 위해 각각의 관측 밀도에 대해 10 km, 5 km, 1 km의 격자강수량을 산정하여 비교하였다. 관측소 밀도와 격자 크기에 따른 추정된 격자강수량의 정확도 분석 결과, 추정된 격자강수량의 공간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관측밀도가 가장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경우 정확한 공간 강수량 추정을 위한 관측소 밀도는 대략 5 km 이하가 적절하고, 격자크기는 1 km 이하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In a purpose to manage precipitation monitoring network more safely and economically and to efficiently use spatial precipitation data in the water resources, we conducted a trade off study on density of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stations and analysis on optimal grid size when estimating accurate spatial precipitation. For the analysis, we compared areal precipitation and spatial accuracy of estimated grid precipitation by station densities and grid sizes for Seoul region where Automatic Weather System (AWS) stations were most dense. Based on 29 stations near in Seoul, we estimated grid precipitation by station densities, grid sizes using daily precipitation data of KMA`s AWS and Automatic Synoptic Observation System (ASOS) during 2001-2010. To find a optimal station density, we specified the case of 29 stations (average distance about 5km between stations), 20 stations (average distance about 6 km between stations) and 7 stations (average distance about 10km between stations). Then, we also calculated grid precipitation of 10 km, 5 km, 1 km size by each station density to find a optimal grid size. From the results of a accuracy tests on the estimated grid precipitation by station density and grid size, we found that station density acted as the most crucial factor to improve space accuracy. In addition, for an accurate spatial precipitation estimation, the appropriate station density and grid size should be sub-5 km and sub-1km respectively in South Korea.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후변화를 고려한 재해환경 변화 분석: 2. 침수위험지구 영향평가
- 제한급수 계획을 위한 수리계획 모형의 기본 설계
- 저심도 철도 시스템에서의 열차 및 차량의 이동하중에 의한 동적거동에 관한 연구
- 공기층의 두께와 소재에 따른 방음패널의 차음효과
- 다짐 및 강도특성을 고려한 보강토 옹벽 뒷채움재로서 Caliche의 적합성 검토
- 한계체적변형률 계측을 통한 최적발파압력 결정
- SWMM-LID를 이용한 상습침수유역 내 유출저감효과 분석
- 남강댐방류로 인한 사천만의 퇴적량 추정
- SWMM 매개변수 민감도를 고려한 도시지하저류조 최적위치 선정
-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섬유시트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실험적 내진성능평가
- SS 농도를 고려한 내성천 하류의 유사특성과 하상변동 예측
- 무단횡단 금지를 위한 차선분리대 신뢰성 평가
- CVM을 이용한 도시방재시설의 경제적 가치 평가에 관한 연구 -경기도 소방서를 중심으로-
- 우리나라의 지역별 홍수피해 특성을 고려한 홍수피해 취약성 평가
- HEC-HMS/RAS와 HEC-GeoRAS 모형을 이용한 홍수범람 시나리오 수립 및 분석
- EPANET 기반의 Pressure Driven Analysis 모형 개발 및 적용
- GRAPHITE/EPOXY 복합재료의 휨 특성에 관한 연구
- 기후변화를 고려한 재해환경 변화 분석: 1. 홍수위 분석
- 소방용 가죽제안전화 착용이 신체평형성에 미치는 영향
- 인간의 집단율동에 의한 고층철골건물의 연직진동평가
- X-Ray 및 수중중량을 이용한 투수성 콘크리트의 간극률 산정
- 침윤 소화약제의 성분분석 연구
- 하이브리드 비좌굴가새를 이용한 고층건물의 사용성 평가
- 비내진설계 내력벽식구조물의 슬래브 내진성능 향상방안 연구
- 진동해머의 기계적 진동특성에 대한 연구
- 수자원분야 활용을 위한 최적 강수격자크기 및 관측소밀도 연구
- 다양한 곡률을 갖는 터널에서의 연속주행 차량에 따른 풍하중으로 인한 강재터널라이닝의 동적거동분석
- 천연가스 플랜트 건설단계의 탄소배출량 산정 및 저감방안
- 피해 방파제 소파블록 중량 및 세굴 검토
- 사연댐 운영수위 하강에 따른 반구대 암각화지점의 수리학적 특성 분석
- 공간 강수량 정확도 향상을 위한 공간상세화 방법 평가
- 원자력발전소 증기발생기 지지대 볼트 연결부 건전성 평가
- 열팽창 효과를 직접 고려한 미래 지구온난화에 의한 북서태평양에서의 상세 해수면 상승 연구
- APR에서 사용하는 SDS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토사터널 붕괴방지를 위한 지반보강방안에 관한 연구
- 하이브리드 비좌굴가새 내진성능에 대한 실험적 연구
- 이중관 충전콘크리트 구조의 해상풍력 타워 적용성 연구
- 지구내 저류시설의 유출저감효과 정량화 및 적정용량 결정
- 수중천퇴상에서 규칙파 및 일방향 불규칙파의 전파변형에 대한 실험
- 원심모형실험을 이용한 콘크리트-사력 복합댐 접속부의 지진 시 거동 고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