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선시대(1392~1910)의 산불정책에 관한 연구
이용수 172
- 영문명
- Study on a Policy for Forest Fire during Joseon Dynasty(during 1392~1910)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김동현 강영호 김찬범 Kim, Donghyun Kang, Youngho Kim, Chanbeom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2권6호, 217~222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주요 역사기록서 분석을 통해 조선시대 518년 동안 태조~순조까지 27대 임금이 교체되면서 왕조별로 산불정책 집행에 대한 기록을 고찰하였다. 연구에 활용된 역사서로서는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대전회통, 고려사절요, 비변사등록, 신보수교집록, 수교집록, 국역증보문헌비고, 경국대전, 황해도연해금송사목, 제도송금사목, 대전속록, 금조절목이문으로 산불정책이 기록된 문헌을 조사, 분석하였다. 역사기록서 문헌에 기록된 산불정책 내용으로는 일반산림에서의 산불정책, 금산과 봉산, 도성 숲에서의 산불정책, 왕실가의 분묘, 종묘, 태실에서 산불정책, 강무장등 사냥터와 사옹원 군기시 시장(柴場)에서의 산불정책, 산불피해지역 백성을 위한 어사 파견 구휼정책, 사고와 사찰에서의 산불정책, 봉수대 등 국토방위를 위한 산불정책, 병충해 구제를 위한 입화 및 입화단속정책이 포함되어 있다. 조선시대 역사기록서를 분석한 결과 조선시대 산불정책은 크게 산불예방목적과 민생안정목적 정책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조선시대에도 산불의 심각성으로 인해 조정 및 지방에서 여러 산불예방정책과 산불 피해로 인한 민생안정정책이 시행되었다. 또한 산불예방정책 중 산림내 주요시설물을 관리하는 방법이 포함되어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urveyed historical records on forest fire polcis during Joseon Dynasty`s 518 years (1392~1910) in being and analyzed the Annals of Joseon Dynasty(朝鮮王朝實錄), The daily records of royal secretariat of Joseon dynasty(承政院日記), Daejonhoetong(大典會通), Koryosachulyo(高麗史節要), Bibyeonsadeungnok(備邊司謄錄), Shinbo Sugyo Jibrok(新補受敎輯錄), Sugyo Jibrok(受敎輯錄), Chungbo munheon bigo(增補文獻備考), Kyeonggukdaejeon(經國大典), Hwanghaedoyeonhaekumsongsamok(黃海 道沿海禁松節目), Jedosongkumsamok(諸道松禁事目), Taezonsokrok(大典續錄), Kumjojeolmokimun(禁條節目移文). Notes recorded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wildfire policy is included such as general forest policy, Kumsan(禁山) and Bongsan(封山), citadel in the forest fire policy, Jongmyo(Royal tomb) Shrine of forest fire policy, hunting ground, salvage, defence, pest extermination. In conclusion, forest policy of Joseon Dynast was performed wildfire prevention policy and livelihood stabilization policy. In addition, forest fire prevention policies and how to manage in the major facilities are include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후변화에 의한 폭염 증가와 대책
- 사면에 적용된 모래채움 마대의 거동에 관한 연구
- 취약성 지표를 이용한 소하천 위험평가 및 소하천위험평가시스템 구축
- 항만권역에서 지진해일 재해 DB구축
- SWAT 및 HEC-RAS모형을 활용한 유역 내 토사수지분석기법
- 고온에 노출된 고강도콘크리트의 열적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긴장재를 사용하지 않은 프리캐스트 교각의 내진성능 실험 연구
- 국내 초고층 건축물 피난관련 기준 비교분석 연구
- 조선시대(1392~1910)의 산불정책에 관한 연구
- 고강도 콘크리트 기둥의 압축강도 변화에 따른 화재거동 및 전열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노래방의 화재위험성 분석을 위한 실규모 화재 실험
- Adaptive Finite Element Mesh Generation for Dynamic Planar Problems
- 부식된 PS강연선의 유효단면적 평가를 위한 PSC보의 휨실험
- 에어로젤 복합 무기질 블랭킷과 석고보드를 피복한 고강도콘크리트 기둥의 내화성능
- 금강유역 토지이용별 비점오염원 유출 특성 장기 모니터링 분석
- 폐석분을 활용한 압출성형 콘크리트 패널의 내화성능 평가에 관한 실험연구
- 반복하중 시 발생하는 미소파괴음을 이용한 KURT 화강암의 손상도 평가
- 내화충전물용 경량기포콘크리트의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SWMM을 이용한 홍수유출 모의의 합리적 적용에 관한 연구
- 업무공간의 화재모델 산정을 위한 실물화재 실험
- 초기수위해석을 이용한 2차원 유한요소모형의 개선
- 60 MPa급 고강도 콘크리트 기둥의 내화공법 유형별 화재거동 및 전열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불화수소(HF)의 독성에 관한 병리학적 분석 연구
- 공간정보 및 센서정보 기반의 실시간 시설물 재난관리시스템 프레임워크
- 계면활성제 농도 변화에 따른 셀룰로오즈계 가연물에서의 표면흡수 동적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 하수처리시설의 에너지 자립화를 위한 청정개발체제(CDM)사업 적용방안
- 국내 건축물 피난 프로그램(K-evac)의 신뢰성 검증 연구
- 화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냉동창고의 화재 해석
- 가압 계단실의 방연풍속 형성에 대한 수치해석적 분석
- 초고층 주거복합빌딩의 LQI(Living Quality Indicator) 지표별 가중치 개발 연구
- 철근콘크리트 및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 부재의 내화성능 분류체계 설정을 위한 실험연구
- 입상재료의 지오셀 보강효과 분석을 위한 재료모형 거동연구
- 2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한 비점착성 하도의 두부침식에 의한 천급점 이동 특성 분석
- 과학적 재난원인 분석을 위한 현장조사기법 개선에 대한 연구
- 하천 제방붕괴로 인한 침수재해 위험도 산정기법 개발
- 대학 실험실습실의 사고 위험성 분석
- CFTA 거더교의 시공중 구조 안전성 및 공용중 진동사용성 평가
- 사업장 화재 경보음 전달특성에 관한 연구
- 9 볼트 사각 전지의 단락사고 발생 시 화재 위험성 고찰
- 한강유역에 대한 비시나리오 기반의 중단기 수문 전망
- 기후변화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한 비시나리오 기반의 중단기 유출 전망에 관한 연구
- 법정 내화슬래브의 내화성능에 관한 실험 연구
- 하천제방의 비정상 침투해석을 위한 설계홍수파형 산정
- 경량 목구조 지붕 쉬딩 시스템에 대한 강풍 취약도 평가기법 개발
- 금강유역 비점오염원 모니터링을 통한 토지이용별 강우-EMC 상관성 분석
- 분리형 투수블록의 우수유출 저감 효과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