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건축물 피난 프로그램(K-evac)의 신뢰성 검증 연구
이용수 36
- 영문명
- The Verification for reliability of Domestic Evacuation Program from Building (K-Evac)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윤호주 황은경 Youn, Ho Ju Hwang, Eun Kyoung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2권6호, 67~72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건축물의 피난안전성 평가를 위해 기 개발된 피난프로그램인 K-evac을 상용화하기 전에 피난 프로그램의 타당성 및 신뢰성에 대한 검증작업을 실시하였다. K-evac의 검증작업은 국외 피난 프로그램 검증 및 확인(Verification and Validation)에 활용하고 있는 IMO지침의 `GUIDANCE ON VALIDATION/VERIFICATION OF EVACUATION SIMULATION TOOLS`을 바탕으로 11개의 기능적구성에 대해 실시하였으며 대부분의 기능을 구현하여 기준점을 통과하였다. 하지만 현재 IMO지침에는 프로그램 기능적구성에 대한 검증만 있어 피난 프로그램에 대해 세부적인 검증에는 한계가 있었다. 향후 피난 프로그램 K-evac의 시범운영을 통한 검증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며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 및 고도화작업을 통해 건축물 피난안전성 툴로서 제공하고자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K-evac`, an evacuation program, to secure evacuation safety performance of domestic buildings and implemented the verifications to secure feasi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program prior to commercialization. The verifications of K-evac has been conducted for 11 functional compositions, based on `GUIDANCE ON VALIDATION/VERIFICATION OF EVACUATION SIMULATION TOOLS` of IMO guidelines utilized in verification and validation of overseas` evacuation program and has passed the standard point with embodying most functions. However, There is a limit in detailed verifications for the evacuation program by IMO guidelines, as they have only a verification for functional composition of the program. Through further pilot operation of the evacuation program, K-evac, the verifications is due to progress, and we have intended to utilized in evaluating evacuation safety of the buildings through advancement and improvement of user`s convenienc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후변화에 의한 폭염 증가와 대책
- 사면에 적용된 모래채움 마대의 거동에 관한 연구
- 취약성 지표를 이용한 소하천 위험평가 및 소하천위험평가시스템 구축
- 항만권역에서 지진해일 재해 DB구축
- SWAT 및 HEC-RAS모형을 활용한 유역 내 토사수지분석기법
- 고온에 노출된 고강도콘크리트의 열적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긴장재를 사용하지 않은 프리캐스트 교각의 내진성능 실험 연구
- 국내 초고층 건축물 피난관련 기준 비교분석 연구
- 조선시대(1392~1910)의 산불정책에 관한 연구
- 고강도 콘크리트 기둥의 압축강도 변화에 따른 화재거동 및 전열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노래방의 화재위험성 분석을 위한 실규모 화재 실험
- Adaptive Finite Element Mesh Generation for Dynamic Planar Problems
- 부식된 PS강연선의 유효단면적 평가를 위한 PSC보의 휨실험
- 에어로젤 복합 무기질 블랭킷과 석고보드를 피복한 고강도콘크리트 기둥의 내화성능
- 금강유역 토지이용별 비점오염원 유출 특성 장기 모니터링 분석
- 폐석분을 활용한 압출성형 콘크리트 패널의 내화성능 평가에 관한 실험연구
- 반복하중 시 발생하는 미소파괴음을 이용한 KURT 화강암의 손상도 평가
- 내화충전물용 경량기포콘크리트의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SWMM을 이용한 홍수유출 모의의 합리적 적용에 관한 연구
- 업무공간의 화재모델 산정을 위한 실물화재 실험
- 초기수위해석을 이용한 2차원 유한요소모형의 개선
- 60 MPa급 고강도 콘크리트 기둥의 내화공법 유형별 화재거동 및 전열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불화수소(HF)의 독성에 관한 병리학적 분석 연구
- 공간정보 및 센서정보 기반의 실시간 시설물 재난관리시스템 프레임워크
- 계면활성제 농도 변화에 따른 셀룰로오즈계 가연물에서의 표면흡수 동적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 하수처리시설의 에너지 자립화를 위한 청정개발체제(CDM)사업 적용방안
- 국내 건축물 피난 프로그램(K-evac)의 신뢰성 검증 연구
- 화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냉동창고의 화재 해석
- 가압 계단실의 방연풍속 형성에 대한 수치해석적 분석
- 초고층 주거복합빌딩의 LQI(Living Quality Indicator) 지표별 가중치 개발 연구
- 철근콘크리트 및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 부재의 내화성능 분류체계 설정을 위한 실험연구
- 입상재료의 지오셀 보강효과 분석을 위한 재료모형 거동연구
- 2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한 비점착성 하도의 두부침식에 의한 천급점 이동 특성 분석
- 과학적 재난원인 분석을 위한 현장조사기법 개선에 대한 연구
- 하천 제방붕괴로 인한 침수재해 위험도 산정기법 개발
- 대학 실험실습실의 사고 위험성 분석
- CFTA 거더교의 시공중 구조 안전성 및 공용중 진동사용성 평가
- 사업장 화재 경보음 전달특성에 관한 연구
- 9 볼트 사각 전지의 단락사고 발생 시 화재 위험성 고찰
- 한강유역에 대한 비시나리오 기반의 중단기 수문 전망
- 기후변화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한 비시나리오 기반의 중단기 유출 전망에 관한 연구
- 법정 내화슬래브의 내화성능에 관한 실험 연구
- 하천제방의 비정상 침투해석을 위한 설계홍수파형 산정
- 경량 목구조 지붕 쉬딩 시스템에 대한 강풍 취약도 평가기법 개발
- 금강유역 비점오염원 모니터링을 통한 토지이용별 강우-EMC 상관성 분석
- 분리형 투수블록의 우수유출 저감 효과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