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후변화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한 비시나리오 기반의 중단기 유출 전망에 관한 연구
이용수 25
- 영문명
- A Study on Short to Mid-term Runoff Prediction based on Non-Scenarios Considering Climate Change Effect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김미은 손태석 장영수 강두기 신현석 Kim, Mi Eun Shon, Tae Seok Jang, Young Soo Kang, Doo Ki Shin, Hyun Suk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2권6호, 315~324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전지구적으로 발생하는 기후변화는 강수, 지하수 함양 및 유출, 저류량, 증발산량으로 연결되는 물순환 평형의 균형을 파괴하고 있다. IPCC는 미래 기후변화가 인간 환경의 영향에 미칠 수 있는 가장 취약한 부분으로 기후시스템 변화로 인한 강우 패턴의 변화를 선정하고 있다. 이에 최근 국내외에서 강우의 경향성과 특성변동에 관한 연구 및 유출량 변동에 관한 연구가 폭넓게 수행되어 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의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와 유출량 변동 특성의 분석을 위하여 경향성 분석 및 탄성도 분석기법을 선정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전국 24개 지점에 대하여 1966년부터 2001까지 장기 관측 자료를 수집하여 중단기 수문 전망의 기초자료로 하여 2020년까지 수문 전망을 실시하였다. 과거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중단기 수문전망을 실시한 결과 탄성도기법을 이용한 결과가 더 신뢰성이 있으며 중단기 수문전망에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GCM-RCM 기법과 달리 과거 장기 관측자료를 기반으로 유출량을 산정함으로써 가까운 미래의 변동 예측을 통하여 수자원 분야의 대응방안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영문 초록
Climate change occurring globally destroys the balance of equilibrium of water cycle connected to precipitation, ground water recharge, outflow, storage, and evapotranspiration. IPCC said that change of precipitation pattern generated variation of climate system in the weakest part among the impacts of future climate change on human environment so researches on the tendency of runoff and precipitation for the variation of characteristics are carried out globally. These have studied a wide of tendency for analyzing the variation of precipitation characteristics due to climate change in Korean. By collecting observed precipitation and runoff data from 1966 to 2001 at 24 points in the country, extracting at the units of year, these were used as basic data for predicting mid-term runoff by 2020. The result of mid-term hydrological prediction from observed data was the better than other and more effective to predict. This study on the basis of long term observed hydrological data contrary to GCM-RCM method on the primary purpose is to develop hydrological prediction model using non-scenario methods over the mid-term.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후변화에 의한 폭염 증가와 대책
- 사면에 적용된 모래채움 마대의 거동에 관한 연구
- 취약성 지표를 이용한 소하천 위험평가 및 소하천위험평가시스템 구축
- 항만권역에서 지진해일 재해 DB구축
- SWAT 및 HEC-RAS모형을 활용한 유역 내 토사수지분석기법
- 고온에 노출된 고강도콘크리트의 열적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긴장재를 사용하지 않은 프리캐스트 교각의 내진성능 실험 연구
- 국내 초고층 건축물 피난관련 기준 비교분석 연구
- 조선시대(1392~1910)의 산불정책에 관한 연구
- 고강도 콘크리트 기둥의 압축강도 변화에 따른 화재거동 및 전열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노래방의 화재위험성 분석을 위한 실규모 화재 실험
- Adaptive Finite Element Mesh Generation for Dynamic Planar Problems
- 부식된 PS강연선의 유효단면적 평가를 위한 PSC보의 휨실험
- 에어로젤 복합 무기질 블랭킷과 석고보드를 피복한 고강도콘크리트 기둥의 내화성능
- 금강유역 토지이용별 비점오염원 유출 특성 장기 모니터링 분석
- 폐석분을 활용한 압출성형 콘크리트 패널의 내화성능 평가에 관한 실험연구
- 반복하중 시 발생하는 미소파괴음을 이용한 KURT 화강암의 손상도 평가
- 내화충전물용 경량기포콘크리트의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SWMM을 이용한 홍수유출 모의의 합리적 적용에 관한 연구
- 업무공간의 화재모델 산정을 위한 실물화재 실험
- 초기수위해석을 이용한 2차원 유한요소모형의 개선
- 60 MPa급 고강도 콘크리트 기둥의 내화공법 유형별 화재거동 및 전열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불화수소(HF)의 독성에 관한 병리학적 분석 연구
- 공간정보 및 센서정보 기반의 실시간 시설물 재난관리시스템 프레임워크
- 계면활성제 농도 변화에 따른 셀룰로오즈계 가연물에서의 표면흡수 동적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 하수처리시설의 에너지 자립화를 위한 청정개발체제(CDM)사업 적용방안
- 국내 건축물 피난 프로그램(K-evac)의 신뢰성 검증 연구
- 화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냉동창고의 화재 해석
- 가압 계단실의 방연풍속 형성에 대한 수치해석적 분석
- 초고층 주거복합빌딩의 LQI(Living Quality Indicator) 지표별 가중치 개발 연구
- 철근콘크리트 및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 부재의 내화성능 분류체계 설정을 위한 실험연구
- 입상재료의 지오셀 보강효과 분석을 위한 재료모형 거동연구
- 2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한 비점착성 하도의 두부침식에 의한 천급점 이동 특성 분석
- 과학적 재난원인 분석을 위한 현장조사기법 개선에 대한 연구
- 하천 제방붕괴로 인한 침수재해 위험도 산정기법 개발
- 대학 실험실습실의 사고 위험성 분석
- CFTA 거더교의 시공중 구조 안전성 및 공용중 진동사용성 평가
- 사업장 화재 경보음 전달특성에 관한 연구
- 9 볼트 사각 전지의 단락사고 발생 시 화재 위험성 고찰
- 한강유역에 대한 비시나리오 기반의 중단기 수문 전망
- 기후변화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한 비시나리오 기반의 중단기 유출 전망에 관한 연구
- 법정 내화슬래브의 내화성능에 관한 실험 연구
- 하천제방의 비정상 침투해석을 위한 설계홍수파형 산정
- 경량 목구조 지붕 쉬딩 시스템에 대한 강풍 취약도 평가기법 개발
- 금강유역 비점오염원 모니터링을 통한 토지이용별 강우-EMC 상관성 분석
- 분리형 투수블록의 우수유출 저감 효과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