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래방의 화재위험성 분석을 위한 실규모 화재 실험
이용수 58
- 영문명
- Real Scale Fire Test for the Karaoke Fire Risk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유용호 최영화 권오상 Yoo, Yong Ho Choi, Young Hwa Kweon, Oh Sang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2권6호, 1~6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다중이용시설중 노래방의 경우 대부분이 지하에 위치하거나 혹은 지상에 있더라도 무창층의 밀실 구조를 가지는 구조적 특성 때문에 화재발생시 연기에 질식될 수 있는 위험성이 매우 크다. 본 연구에서는 노래방의 화재 위험성 분석을 위하여 재건축이 진행중인 지역의 실제 노래방을 대상으로 실규모 화재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화재가 발생된 방의 경우 화재발생후 약 5분후에 산소농도는 13.99% 까지 감소하며, 일산화탄소는 0.58%가 발생하였다. 특히 화재가 발생한 옆 방의 경우 화재발생 약 8분후 일산화탄소가 1%이상으로 측정됨으로써 직접적인 화염의 확산보다 방음재의 불완전연소에 의한 일산화탄소등 유독가스에 의한 질식이 더 위험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밀폐된 노래방 화재시 신속한 초동조치가 없을 경우 3분 정도에 인접 공간으로 치명적인 독성 가스가 도달되어 많은 인명피해를 발생시키게 된다.
영문 초록
Karaoke is the structural feature that it is located underground or composed of no window layer secret room even over the ground so that it has quite high risk of airway obstruction due to smoke at the fire. In this study, a real scale fire test was performed for actual karaokes at the zone under reconstru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oxygen concentration of the room at which fire occurred decreased to 13.99% around 5 minutes later, and 0.58% of carbon monoxide was generated. Especially, 0.8% or more of carbon monoxide was measured in the room next to it around 8 minutes after fire occurrence. Thus, it was found that air way obstruction would probably occur due to toxic gas such as carbon monoxide by incomplete combustion of sound proofing material rather than flame spread by fire re-spread. Consequently, fatal toxic smoke reaches the surrounding space in around 3 minutes without quick early measures at the fire of sealed room so that many causalities result.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후변화에 의한 폭염 증가와 대책
- 사면에 적용된 모래채움 마대의 거동에 관한 연구
- 취약성 지표를 이용한 소하천 위험평가 및 소하천위험평가시스템 구축
- 항만권역에서 지진해일 재해 DB구축
- SWAT 및 HEC-RAS모형을 활용한 유역 내 토사수지분석기법
- 고온에 노출된 고강도콘크리트의 열적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긴장재를 사용하지 않은 프리캐스트 교각의 내진성능 실험 연구
- 국내 초고층 건축물 피난관련 기준 비교분석 연구
- 조선시대(1392~1910)의 산불정책에 관한 연구
- 고강도 콘크리트 기둥의 압축강도 변화에 따른 화재거동 및 전열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노래방의 화재위험성 분석을 위한 실규모 화재 실험
- Adaptive Finite Element Mesh Generation for Dynamic Planar Problems
- 부식된 PS강연선의 유효단면적 평가를 위한 PSC보의 휨실험
- 에어로젤 복합 무기질 블랭킷과 석고보드를 피복한 고강도콘크리트 기둥의 내화성능
- 금강유역 토지이용별 비점오염원 유출 특성 장기 모니터링 분석
- 폐석분을 활용한 압출성형 콘크리트 패널의 내화성능 평가에 관한 실험연구
- 반복하중 시 발생하는 미소파괴음을 이용한 KURT 화강암의 손상도 평가
- 내화충전물용 경량기포콘크리트의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SWMM을 이용한 홍수유출 모의의 합리적 적용에 관한 연구
- 업무공간의 화재모델 산정을 위한 실물화재 실험
- 초기수위해석을 이용한 2차원 유한요소모형의 개선
- 60 MPa급 고강도 콘크리트 기둥의 내화공법 유형별 화재거동 및 전열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불화수소(HF)의 독성에 관한 병리학적 분석 연구
- 공간정보 및 센서정보 기반의 실시간 시설물 재난관리시스템 프레임워크
- 계면활성제 농도 변화에 따른 셀룰로오즈계 가연물에서의 표면흡수 동적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 하수처리시설의 에너지 자립화를 위한 청정개발체제(CDM)사업 적용방안
- 국내 건축물 피난 프로그램(K-evac)의 신뢰성 검증 연구
- 화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냉동창고의 화재 해석
- 가압 계단실의 방연풍속 형성에 대한 수치해석적 분석
- 초고층 주거복합빌딩의 LQI(Living Quality Indicator) 지표별 가중치 개발 연구
- 철근콘크리트 및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 부재의 내화성능 분류체계 설정을 위한 실험연구
- 입상재료의 지오셀 보강효과 분석을 위한 재료모형 거동연구
- 2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한 비점착성 하도의 두부침식에 의한 천급점 이동 특성 분석
- 과학적 재난원인 분석을 위한 현장조사기법 개선에 대한 연구
- 하천 제방붕괴로 인한 침수재해 위험도 산정기법 개발
- 대학 실험실습실의 사고 위험성 분석
- CFTA 거더교의 시공중 구조 안전성 및 공용중 진동사용성 평가
- 사업장 화재 경보음 전달특성에 관한 연구
- 9 볼트 사각 전지의 단락사고 발생 시 화재 위험성 고찰
- 한강유역에 대한 비시나리오 기반의 중단기 수문 전망
- 기후변화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한 비시나리오 기반의 중단기 유출 전망에 관한 연구
- 법정 내화슬래브의 내화성능에 관한 실험 연구
- 하천제방의 비정상 침투해석을 위한 설계홍수파형 산정
- 경량 목구조 지붕 쉬딩 시스템에 대한 강풍 취약도 평가기법 개발
- 금강유역 비점오염원 모니터링을 통한 토지이용별 강우-EMC 상관성 분석
- 분리형 투수블록의 우수유출 저감 효과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