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진 재난에 따른 화재, 피난, 구조 위험도 평가지표 도출에 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Derivation of Risk Assessment Indicators for Fire, Evacuation, and Rescue in Earthquake Disaster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김환용(Hwan-yong Kim) 오성익(Seong-Ik Oh) 김도완(Dowan Kim)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5권 2호, 63~70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반도의 지진 발생 빈도가 늘어나면서 우려 역시 증가하고 있으나 지역별 지진위험 평가 지도는 아직 미비하다. 국내외에서 지진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사용된 지표가 다양하고, 특히 구조(Rescue) 위험도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50개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지표들을 수집 및 분석하였고, 5개 영역 10개 항목 30개 요소로 분류하였다. 이중 사용 빈도가 5위 이상으로 높은 지표들을 주요 지표로 선정하여 화재, 피난, 구조 위험도 영역에서 중점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핵심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e Korean Peninsula has witnessed a rising frequency of earthquakes, which highlights the urgent need for comprehensive seismic hazard assessments that incorporate rescue and response considerations. Although numerous studies have assessed earthquake risks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existing research varies widely in its selection of indicators, and studies focusing on rescue-related risks remain scarce. To address this gap, we analyzed indicators across 50 previous studies and categorized them into 5 domains, 10 categories, and 30 key elements. This process enabled the identification and prioritization of the most frequently used indicators, facilitating the extraction of the core elements essential for assessing fire, evacuation, and rescue risks. These findings laid the groundwork for improving regional seismic hazard assessment maps and advancing disaster mitigation and response strategies.
목차
1. 서 론
2. 위험도별 평가지표 도출
3. 위험도별 평가지표 분석
4.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5권 2호 목차
- 인공지능 안면 영상 분석 기반 생체 신호 측정 기술을 활용한 건설 현장 작업자 건강 상태 모니터링 현장 적용 가능성 검증
- Comparative Analysis of Risk Factor Weighting GBDT Methods for Enhancing the Accuracy of Flood Risk Assessment
- Risk Assessment for Compound Disaster Events of Hot-Drought and Hot-Humid in Shandong, China
- 공간회귀분석을 활용한 재난회복력과 재난피해액 간 영향분석
- 지진 재난에 따른 화재, 피난, 구조 위험도 평가지표 도출에 대한 연구
- 화재현장 배연전술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산악 철도 매립형 궤도의 구성 요소 간 접합면 특성이 궤도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섬진강 유역 다목적댐 운영방식에 따른 장래 공급능력 평가
- 기후변화를 고려한 지형특성별 지하수 내 질산성질소에 대한 수치해석
- 비화재보 저감을 위한 물류창고 연기 특성 분석
- 비탈면 보강재 매설에 따른 현장적용성 분석
- MODSIM 기반의 영산강-섬진강 유역의 물 부족 평가 및 대책 방안 연구
- 소하천 스마트 계측관리시스템의 표면-평균유속 환산계수 산정식 개발
- 시공간 특성을 고려한 대기오염물질배출량과 천식의 핫스팟 지역 분석
- 하류부 범람 피해 저감을 위한 소규모 농업용 저수지의 사이펀 운영기준 제시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기타공학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기타공학분야 NEW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5권 2호 목차
- 인공지능 안면 영상 분석 기반 생체 신호 측정 기술을 활용한 건설 현장 작업자 건강 상태 모니터링 현장 적용 가능성 검증
- Comparative Analysis of Risk Factor Weighting GBDT Methods for Enhancing the Accuracy of Flood Risk Assessment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