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daptive Finite Element Mesh Generation for Dynamic Planar Problems
이용수 9
- 영문명
- Adaptive Finite Element Mesh Generation for Dynamic Planar Problem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Yoon, Chongyul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2권6호, 151~156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구조물의 전산 방재시스템의 한 부분인 설계-해석은 자동화가 필수적이다. 구조해석법으로는 유한요소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근래에는 다소 복잡한 동적인 문제와 비선형 문제에도 사용이 일반화 되고 있다. 구조물을 유한요소로 표현할 때 요소와 요소망이 적절히 선택되면 신뢰 있는 해석 결과를 출력한다. 그러나 구조물의 동적 또는 비선형 거동에는 예상하지 않은 부분에서 큰 변형이 일어날 수 있으며, 초기 요소망을 계속 사용하면 요소의 모양이 신뢰 있는 범위에서 상당히 벗어 날 수 있으므로 요소망 역시 동적으로 적응할 필요가 있고, 실시간으로 빠르게 진행되는 해석 과정을 고려하면, 동적인 적응적 유한 요소망 형성 전략은 연산면에서도 효율적이어야 한다. 본 연구는 시간영역 동적해석에서 전 단계 해석 결과를 사용하여 계산된 대표 변형률 값을 오차 평가에 사용하고, 요소 세분화는 절점 이동인 r-법과 요소 분할인 h-법의 조합으로 계산하며, 모양계수 개념으로 과대하게 변형된 요소 모양을 방지하는 동적인 적응적 유한 요소망 형성 전략을 제시한다. 적용한 캔틸레버 보의 예제를 통하여 정확성과 연산 효율성을 검증하였고 나아가 방법의 간단함이 지진 하중, 풍하중 등에 대한 해석이 필요한 방재 구조시스템의 복잡한 해석에도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을 보여 준다.
영문 초록
In structural design and analysis used for hazard mitigation systems, automation is becoming an essential feature. For analysis, the finite element method has proven to be an effective approximate method if proper element types and meshes are chosen. Recently, the method has been successfully applied to solve complex dynamic and nonlinear problems; and with a properly chosen element type and mesh, reliable results have been obtained. However, in automation and in complex analyses of a structures, using the initial mesh throughout the analysis may involve some elements to go through strains beyond the elements` reliable limits. Thus, the finite element mesh for these types of analyses must be dynamically adaptive, and considering the rapid process of analysis in real time, the dynamically adaptive finite element mesh generating schemes must be computationally efficient. In this paper, a computationally efficient dynamically adaptive finite element mesh generation scheme for dynamic analyses of planar problems is described. The concept of representative strain value is used for error estimates and the refinements of meshes use combinations of the h-method (node movement) and the r-method (element division). A coefficient that depends on shape of elements is used to correct overly distorted elements. The validity of the scheme is shown by a deep cantilever beam example under a dynamic concentrated load. The example shows reasonable accuracy and efficient computing time. Furthermore, the study shows the potential for the scheme`s effective use in complex structural problems such as those under severe environmental hazards such as seismic or erratic wind load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후변화에 의한 폭염 증가와 대책
- 사면에 적용된 모래채움 마대의 거동에 관한 연구
- 취약성 지표를 이용한 소하천 위험평가 및 소하천위험평가시스템 구축
- 항만권역에서 지진해일 재해 DB구축
- SWAT 및 HEC-RAS모형을 활용한 유역 내 토사수지분석기법
- 고온에 노출된 고강도콘크리트의 열적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긴장재를 사용하지 않은 프리캐스트 교각의 내진성능 실험 연구
- 국내 초고층 건축물 피난관련 기준 비교분석 연구
- 조선시대(1392~1910)의 산불정책에 관한 연구
- 고강도 콘크리트 기둥의 압축강도 변화에 따른 화재거동 및 전열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노래방의 화재위험성 분석을 위한 실규모 화재 실험
- Adaptive Finite Element Mesh Generation for Dynamic Planar Problems
- 부식된 PS강연선의 유효단면적 평가를 위한 PSC보의 휨실험
- 에어로젤 복합 무기질 블랭킷과 석고보드를 피복한 고강도콘크리트 기둥의 내화성능
- 금강유역 토지이용별 비점오염원 유출 특성 장기 모니터링 분석
- 폐석분을 활용한 압출성형 콘크리트 패널의 내화성능 평가에 관한 실험연구
- 반복하중 시 발생하는 미소파괴음을 이용한 KURT 화강암의 손상도 평가
- 내화충전물용 경량기포콘크리트의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SWMM을 이용한 홍수유출 모의의 합리적 적용에 관한 연구
- 업무공간의 화재모델 산정을 위한 실물화재 실험
- 초기수위해석을 이용한 2차원 유한요소모형의 개선
- 60 MPa급 고강도 콘크리트 기둥의 내화공법 유형별 화재거동 및 전열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불화수소(HF)의 독성에 관한 병리학적 분석 연구
- 공간정보 및 센서정보 기반의 실시간 시설물 재난관리시스템 프레임워크
- 계면활성제 농도 변화에 따른 셀룰로오즈계 가연물에서의 표면흡수 동적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 하수처리시설의 에너지 자립화를 위한 청정개발체제(CDM)사업 적용방안
- 국내 건축물 피난 프로그램(K-evac)의 신뢰성 검증 연구
- 화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냉동창고의 화재 해석
- 가압 계단실의 방연풍속 형성에 대한 수치해석적 분석
- 초고층 주거복합빌딩의 LQI(Living Quality Indicator) 지표별 가중치 개발 연구
- 철근콘크리트 및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 부재의 내화성능 분류체계 설정을 위한 실험연구
- 입상재료의 지오셀 보강효과 분석을 위한 재료모형 거동연구
- 2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한 비점착성 하도의 두부침식에 의한 천급점 이동 특성 분석
- 과학적 재난원인 분석을 위한 현장조사기법 개선에 대한 연구
- 하천 제방붕괴로 인한 침수재해 위험도 산정기법 개발
- 대학 실험실습실의 사고 위험성 분석
- CFTA 거더교의 시공중 구조 안전성 및 공용중 진동사용성 평가
- 사업장 화재 경보음 전달특성에 관한 연구
- 9 볼트 사각 전지의 단락사고 발생 시 화재 위험성 고찰
- 한강유역에 대한 비시나리오 기반의 중단기 수문 전망
- 기후변화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한 비시나리오 기반의 중단기 유출 전망에 관한 연구
- 법정 내화슬래브의 내화성능에 관한 실험 연구
- 하천제방의 비정상 침투해석을 위한 설계홍수파형 산정
- 경량 목구조 지붕 쉬딩 시스템에 대한 강풍 취약도 평가기법 개발
- 금강유역 비점오염원 모니터링을 통한 토지이용별 강우-EMC 상관성 분석
- 분리형 투수블록의 우수유출 저감 효과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