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입상재료의 지오셀 보강효과 분석을 위한 재료모형 거동연구
이용수 7
- 영문명
- A Study of Material Model Behavior for the Analysis of Reinforcing Effect of Geocell on Granular Material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이수형 이창준 김제원 유인균 Lee, Soo Hyung Lee, Chang Joon Kim, Je Won Yoo, In Kyoon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2권6호, 163~170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지오셀은 지반재료의 보강을 위한 효과적인 도구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포장구조의 보조기층으로 사용되는 입상재료의 지오셀 보강효과를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원통형 지오셀로 보강된 입상재료의 거동을 모사할 수 있는 수학적 모형을 정식화 하였으며, 수치적 해석을 위해 MATLAB 프로그램 코드를 개발하였다. 지오셀이 보강된 입상재료의 역학적 거동 영향인자로서 지오셀의 탄성계수($E_G$ =800, 1600, 2400 MPa), 지오셀의 반지름(R=50, 100, 150, 200 mm), 지오셀의 두께(t=1.2, 2.4, 3.6mm)를 설정하였다. 수치적 해석결과를 바탕으로 지오셀의 보강효과는 지오셀의 탄성계수와 두께가 증가하고, 지오셀의 반지름이 감소할수록 그 효과가 증가하며, 동시에 채움재인 입상재료의 재료적 비선형성으로 인해 보강효과의 증가가 비선형적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입상 채움 재료의 응력상태가 낮은 경우가 응력 상태가 높은 경우에 비해 지오셀 보강효과가 상대적으로 더욱 뚜렷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Geocell is one of the effective tools for reinforcing geotechnical materials such soil, sand, and so 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einforcing effect of geocell on unbounded granular material (UGM), which is used for subbase of pavement structures. For this purpose, a mathematical model for UGM reinforced with cylindrical geocell was formulated. A MATLAB program code for the mathematical solution was developed. In oreder to investigate the reinforcing effect of geocell on the UGM, a parametric study was conduced using the MATLAB code. The parameters used for the study were Young`s modulus of geocell($E_G$ =800, 1600, 2400 MPa), radius of geocell(R=50, 100, 150, 200 mm), and thickness of geocell(t=1.2, 2.4, 3.6 m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inforcing effect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Young`s modulus and the thickness, and with the decrease of the radius. In addition, lower stress level showed a better reinforcing effect of geocell compared to higher stress level in terms of relative strain reduction ratio.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후변화에 의한 폭염 증가와 대책
- 사면에 적용된 모래채움 마대의 거동에 관한 연구
- 취약성 지표를 이용한 소하천 위험평가 및 소하천위험평가시스템 구축
- 항만권역에서 지진해일 재해 DB구축
- SWAT 및 HEC-RAS모형을 활용한 유역 내 토사수지분석기법
- 고온에 노출된 고강도콘크리트의 열적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긴장재를 사용하지 않은 프리캐스트 교각의 내진성능 실험 연구
- 국내 초고층 건축물 피난관련 기준 비교분석 연구
- 조선시대(1392~1910)의 산불정책에 관한 연구
- 고강도 콘크리트 기둥의 압축강도 변화에 따른 화재거동 및 전열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노래방의 화재위험성 분석을 위한 실규모 화재 실험
- Adaptive Finite Element Mesh Generation for Dynamic Planar Problems
- 부식된 PS강연선의 유효단면적 평가를 위한 PSC보의 휨실험
- 에어로젤 복합 무기질 블랭킷과 석고보드를 피복한 고강도콘크리트 기둥의 내화성능
- 금강유역 토지이용별 비점오염원 유출 특성 장기 모니터링 분석
- 폐석분을 활용한 압출성형 콘크리트 패널의 내화성능 평가에 관한 실험연구
- 반복하중 시 발생하는 미소파괴음을 이용한 KURT 화강암의 손상도 평가
- 내화충전물용 경량기포콘크리트의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SWMM을 이용한 홍수유출 모의의 합리적 적용에 관한 연구
- 업무공간의 화재모델 산정을 위한 실물화재 실험
- 초기수위해석을 이용한 2차원 유한요소모형의 개선
- 60 MPa급 고강도 콘크리트 기둥의 내화공법 유형별 화재거동 및 전열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불화수소(HF)의 독성에 관한 병리학적 분석 연구
- 공간정보 및 센서정보 기반의 실시간 시설물 재난관리시스템 프레임워크
- 계면활성제 농도 변화에 따른 셀룰로오즈계 가연물에서의 표면흡수 동적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 하수처리시설의 에너지 자립화를 위한 청정개발체제(CDM)사업 적용방안
- 국내 건축물 피난 프로그램(K-evac)의 신뢰성 검증 연구
- 화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냉동창고의 화재 해석
- 가압 계단실의 방연풍속 형성에 대한 수치해석적 분석
- 초고층 주거복합빌딩의 LQI(Living Quality Indicator) 지표별 가중치 개발 연구
- 철근콘크리트 및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 부재의 내화성능 분류체계 설정을 위한 실험연구
- 입상재료의 지오셀 보강효과 분석을 위한 재료모형 거동연구
- 2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한 비점착성 하도의 두부침식에 의한 천급점 이동 특성 분석
- 과학적 재난원인 분석을 위한 현장조사기법 개선에 대한 연구
- 하천 제방붕괴로 인한 침수재해 위험도 산정기법 개발
- 대학 실험실습실의 사고 위험성 분석
- CFTA 거더교의 시공중 구조 안전성 및 공용중 진동사용성 평가
- 사업장 화재 경보음 전달특성에 관한 연구
- 9 볼트 사각 전지의 단락사고 발생 시 화재 위험성 고찰
- 한강유역에 대한 비시나리오 기반의 중단기 수문 전망
- 기후변화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한 비시나리오 기반의 중단기 유출 전망에 관한 연구
- 법정 내화슬래브의 내화성능에 관한 실험 연구
- 하천제방의 비정상 침투해석을 위한 설계홍수파형 산정
- 경량 목구조 지붕 쉬딩 시스템에 대한 강풍 취약도 평가기법 개발
- 금강유역 비점오염원 모니터링을 통한 토지이용별 강우-EMC 상관성 분석
- 분리형 투수블록의 우수유출 저감 효과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