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복수암 생쥐와 인체 암세포에 대한 알로에의 항암 작용
이용수 46
- 영문명
- Anticancer Effects of Aloe on Sarcoma 180 in ICR Mouse and on Human Cancer Cell Lines
- 발행기관
- 대한약학회
- 저자명
- 정혜윤(He Yun Jeong) 김재현(Jae Hyun Kim) 황세진(Se Jin Hwang) 이동권(Dong Kwon Rhee)
- 간행물 정보
- 『약학회지』제38권 제3호 (1994년), 311~32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4.06.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nticancer effects of Aloe on sarcoma 180 in ICR mouse or human cancer cells were determined. Sarcoma 180 cells were inoculated subcutaneously into male ICR mouse to determine effect of Aloe on tumor growth, or inoculated intraperitoneally into male ICR mouse to determine effect of Aloe on life span prolongation, followed by oral administration of Aloe vera(1Omg/kg/day, 50mg/kg/day) or Aloe arborescens(1Omg/kg/day, 100mg/kg/day) once a day for 14 days. The administration of Aloe vera or Aloe arborescens did not suppress tumor growh. However the life span of ICR mouse was prolonged to 19%(P<0.05), 22%(P<0.05), and 32%(P<0.05) by administration of Aloe vera 10mg/kg/day, Aloe vera 50 mg/kg/day, and Aloe arborescens 100mg/kg/day, respectively. To determine anticancer effect of Aloe in vitro, Aloe extract was added to the culture of human gastric cancer cells(SNU-1) and colorectal cancer cells(SNU-C2A), and concentration of Aloe to inhibit cancer cell growth was determined using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cytotoxicity assay. High ID50, values of Aloe vera and Aloe arborescens against gastric cancer cell line(SNU-1) and colorectal cancer cell line(SNU-C2A) suggest that Aloe gel does not have anticancer effect on these specific human cancer cells although high concentration of Aloe inhibited growth of human cancer cells significantly.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도토리에서 분리한 Dotorioside I, II의 구조
- 우르소데옥시콜린산 및 케노데옥시콜린산의 베타시클로덱스트린 포접복합체의 물리화학적 특성비교
- Baicalin이 3T3-L1 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
-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새로운 오메프라졸 복합체 개발
- 복수암 생쥐와 인체 암세포에 대한 알로에의 항암 작용
- 사람 장내세균에 의한 폰시린과 나린진의 대사
- 레티노익 산의 형태와 구조-활성 관계 -레티노벤조익 산-
- 영지로부터 추출한 다당체의 실험적 간경화에 대한 섬유화 억제효과
- Drosophila에서 인삼 및 단삼 추출물이 MNNG의 돌연변이원성에 미치는 영향
- Melandrin유도체의 진통 소염 및 항바이러스 효과
- 새로운 베타락탐계 항생물질 합성과 항균활성
- Melandrin 유도체의 합성
- 초유에 함유되어 있는 면역조절물질인 MIEF가 B 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
- 세포외 Adenosin Deaminase Inhibitor를 생산하는 방선균의 분리 및 특성
- 마크로라이드-린코사마이드-스트렙토그라민 B(MLS)계 항생물질에 대한 유도 내성
- 새로운 퀴놀론계 항균제 DWQ-013의 항균작용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약학회지 제69권 제3호(2025년) 목차
- 국내외 폐의약품의 수거 현황 비교 및 정책적 시사점 도출
- 성인 과체중 또는 비만 환자에서 GLP-1 수용체 작용제의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 체계적 문헌고찰 및 베이지안 네트워크 메타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