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레티노익 산의 형태와 구조-활성 관계 -레티노벤조익 산-
이용수 3
- 영문명
- Conformation of Retinoic Acid and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 -Retinobenzoic Acid -
- 발행기관
- 대한약학회
- 저자명
- 이종달(Jong Dal Rhee) 이인자(In Ja Rhee)
- 간행물 정보
- 『약학회지』제38권 제3호 (1994년), 230~237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4.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 of (E)-chalcone-4-carboxylic acids, flavone-4''-carboxylic acids, two types of aromatic amides, terephthalic monoanilides, and (arylcarboxamido)benzoic acids, which were made by Shudo group, are discussed by conformation analysis(AM1) of retinoic acid and those compounds. Conformer of each compound is superimposed on the conformationally restricted compound, 4-(6,7,8,9-tetrahydro-6,6,9,9-tetramethyl-4H-4-oxonaphto[2,3-b]pyran-2-yl)benzoic acid(Fv8O), possessing the strongest differentiation-inducing activity on human promyelocytic leukemia cells HL-60.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lengths between the carboxylic carbon and the two 6, 9 carbons binding to dimethyl, 1.20nm and 1.09nm, as well as the planarity of molecule are very important factors for the activity, especially 1.20 nm. In the case of the recently synthesized azulenic retinoic acids by Sato, et al. in 1993, the distance probably is also important, resulted from superimposing them on a Ch55 conformer and Fv8O. The distance 1.0nm is also important in Ch55. Several conformers of all-trans retinoic acid (RA) are well superimposed on the almost non-flexible Fv8O, RA, 9-cis RA, and, specifically s-10,12 cis RA. And a simple hexangular model of RA is suggested to draw RA conformers easily without computer drawing model or molecular model.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도토리에서 분리한 Dotorioside I, II의 구조
- 우르소데옥시콜린산 및 케노데옥시콜린산의 베타시클로덱스트린 포접복합체의 물리화학적 특성비교
- Baicalin이 3T3-L1 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
-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새로운 오메프라졸 복합체 개발
- 복수암 생쥐와 인체 암세포에 대한 알로에의 항암 작용
- 사람 장내세균에 의한 폰시린과 나린진의 대사
- 레티노익 산의 형태와 구조-활성 관계 -레티노벤조익 산-
- 영지로부터 추출한 다당체의 실험적 간경화에 대한 섬유화 억제효과
- Drosophila에서 인삼 및 단삼 추출물이 MNNG의 돌연변이원성에 미치는 영향
- Melandrin유도체의 진통 소염 및 항바이러스 효과
- 새로운 베타락탐계 항생물질 합성과 항균활성
- Melandrin 유도체의 합성
- 초유에 함유되어 있는 면역조절물질인 MIEF가 B 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
- 세포외 Adenosin Deaminase Inhibitor를 생산하는 방선균의 분리 및 특성
- 마크로라이드-린코사마이드-스트렙토그라민 B(MLS)계 항생물질에 대한 유도 내성
- 새로운 퀴놀론계 항균제 DWQ-013의 항균작용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약학회지 제69권 제3호(2025년) 목차
- 국내외 폐의약품의 수거 현황 비교 및 정책적 시사점 도출
- 성인 과체중 또는 비만 환자에서 GLP-1 수용체 작용제의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 체계적 문헌고찰 및 베이지안 네트워크 메타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