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춘향전>에 나타난 여성인물의 언술양상
이용수 205
- 영문명
- Discourse aspects of the female characters in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 저자명
- 신선희(Shin Seon hee)
- 간행물 정보
-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제5권, 119~153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2.12.31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여성적 시각에서의 고전읽기가 지니는 역사ㆍ사회적 방법론의 한계를 극복하면서 음운, 어휘, 문장 등의 문법층위와 발화방식 그리고 문학적 양식에서 분석되는 언술양상과 언술구조를 바탕으로 하여 <춘향전>(33장본)을 결구하고 있는 언표화된 것과 의미화된 것의 교직양상을 분석했다.
<춘향전>의 언술특성은 생/사, 숨김/드러냄의 대립적 언술, 육체적 사랑과 결합의 이미지를 극대화한 시적 언술과 놀이와 풍자의 문답식 언술, 개인적 행복이 사회적, 국가적 안정과 맞물리는 확산적 언술로 추출되었다. 작품전체를 구성하고 있는 이같은 언술특성을 바탕으로 여성인물의 언술양상과 의미를 살폈다. 발화주체자인 춘향의 항거와 독백의 언술에서는 烈이라는 윤리구현의 사회적 의미와, 나약함과 서글픔의 여성적 정서표출이 드러났고, 발화대상으로서의 춘향에 대한 타자의 언술에서는 애정을 갈구하는 여인과 윤리구현 실체로서의 양면적 모습이 드러났다.
춘향을 중심으로 살펴본 여성인물의 언술양상과 의미는 남성언술과의 대비를 통해 고구되었다. 즉, 선택된 어휘와 문장의 결합방식에서 춘향의 언술은 불변(지키다/수절하다)의 의미가, 이도령은 변동(공부하다/쉬다/놀다/돌아오다)의 의미가 추출되었다. 다시 忠과 烈이 동일화되는 윤리항목의 경계침범과 놀이의 언술에서 상하/주종의 질서가 허물어지는 경계침범은 춘향과 이도령의 언술이 지니는 의미였다. 또 직설적, 은유적 비유법에 숨어있는 풀이적 언술의 의미는 남성의 것이 사회적 성격을 지녔다면 여성은 한과 원망의 정서를 바탕으로 한 것임을 밝혔다.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가 아니라 '어떻게 말하고 있는가'를 들여다보기 위해 언술이라는 렌즈를 동원한 본고의 작업은 결국 <춘향전>읽기로 귀결되는 일이었다.
기생이 정렬부인으로, 나약함이 강인함으로, 갇힌 공간에서 열린공간으로, 맺힘이 풀림으로, 죽음이 삶으로 전환되는 존재의 변화와 정서의 전도와 증폭은 <춘향전>의 언술양상과 서사적 구성이 빚어낸 조화의 결과물로 드러났다. 또 <춘향전>에는 남성/여성, 상/하, 주/종, 생/사, 현실/꿈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넘나드는, 화합의 장이 언술의 형식적 표현영역에서부터 서사구성, 비유의 체계와 문학적 양식에 이르기까지 중층적으로 마련되어 있음을 밝혀 보았다.
만남-이별-재결합, 태평성대-일시적 파괴-태평성대회복이라는 서사물로서 환유의 축은 서사전개를 이끌어갔고, 그 서사적 의미를 생산해 낸 것은 동일한 기능의 어휘와 문장이 결합된 병렬식의 언술적 질서를 반복한 은유(은유적 언술)의 축에 의해서였다.
영문 초록
Studies that dealt the classics in a female viewpoint extracted the womanhood from the antagonistic relationships with manhood. The womanhood might be considered as one of the results that interperted the classics with social customs, norms and ideology.
This thesis tries to overcome the historic and social limits of reading classics with a female viewpoint. And also tries to find the way to relate that viewpoint with the internal elements of the novel.
One of the approaches of relating female viewpoint with the internal elements of the 'Pansori' style novel is studying the discourse. This study endeavors to find out the ethical and social meanings of through the analysis of discourse aspects and structures. The text used for analysis is 33 chapter.
Chapter Ⅱ of the thesis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discourses through vocabulary, conversation and aspects of literatures.
The results are analyzed as
1) Life/Death, Hide/Disclose Discourse
2) Poetic Discourse
3) Question and Answer style Discourse
4) Disseminating Discourse
Chapter Ⅲ of the thesis analyzed the discourse aspects of the characters with the discourse aspects of the heroine.
ChunHyang's discourses are based on the loyalty and yearning.
Chapter Ⅳ of the thesis analyzed
1) Invariability and Variability
2) Consolidation and Segmentation
3) Invasion of the Boundary
4) Bearing and Venting Grudge
The thesis concludes reading not by 'What to say', but by 'how to say' is might be another way of understand the novel .
목차
<국문초록>
1. 논의의 출발과 방향
2. <춘향전>의 언술 특성
3. 여성인물의 언술양상
4. 여성인물의 언술양상과 그 의미
5. 맺음말
참고 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