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试论明清时期汉语语音近三百年的演变
이용수 62
- 영문명
- Tentative Study on Chinese Phonetic Evolution during Ming and Qing Dynasties(1515~1795) - Based on Right Annotated Pronunciations in Lao Qi Da Translation and Nokeoltae Eonhae -
- 발행기관
-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 저자명
- 张 晓 曼(Zhang Xiaoman) 安末淑(An Malsuk)
- 간행물 정보
- 『동양한문학연구』東洋漢文學硏究 第36輯, 175~192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2.28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명청시대는 근대 중국어에서 현대 중국어로 넘어가는 중요한 과도기로 어음연구에 있어서 커다란 변화를 가져옴과 동시에 학술적으로도 관심을 많이 받기도 하였다. 명청시대 어음연구는 음운학 연구의 주관심 분야 중의 하나이다. 본고에서는 한국 조선시대의 중국어학습 교재인 『老乞大』를 사례로, 1515년에 편찬된 『飜譯老乞大』와 1795년에 편찬된 『重刊老乞大谚解』 두 저서의 우음(右音)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하여 명청시대 즉 1515년에서 1795년까지 근 300년 동안의 중국어어음의 변천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Ming and Qing Dynasties are the late period of modern Chinese development. With great changes in speech sound and many hot issues for academic research, it is an important transition phase from modern Chinese to contemporary Chinese. Therefore, the phonetic study in Ming and Qing Dynasties has become one of the research focuses for Chinese phonology study. Based on Lao Qi Da, a Chinese textbook used in Cho-Sun Dynasty of Korea, the paper discusses the Chinese phonetic evolution in three hundred years(1515~1795) during the Ming and Qing Dynasties by comparing the right annotated pronunciations in Lao Qi Da(1515) and Nokeoltae Eonhae(1795).
목차
국문초록
一、序论
二、≪老乞大≫解题
三、≪翻译老乞大≫右音声母系统研究
四、≪翻译老乞大≫右音韵母系统研究
五、≪翻译老乞大≫、≪重刊老乞大谚解≫右音对比分析
六、结论
參考文獻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茶山과 明ㆍ淸 文學
- 茶山과 日本 古學派 太宰春臺의 經權論
- 庚寅通信使(1590)의 文化使節로서의 성격
- 정조 연간 지식인들의 『春秋』 역법 이해와 『日知錄』의 영향
- 『東人詩話』에 수용된 중국 詩學書 연구
- 한중소설의 婚姻과 戀愛觀에 대한 소론
- 河濱 愼後聃의 『대학』 해석과 그 의미
- 尹行恁의 「薪湖隨筆_『大學』」 해석을 통해 본 18세기 학문논쟁의 한 국면
- 南冥學派의 展開過程에서 來庵 鄭仁弘에 대한 認識 再考
- 『幷世才彦錄』을 통해 본 이규상의 世界認識
- 试论明清时期汉语语音近三百年的演变
- 黃景源의 시에 나타난 對明義理의 양상과 성격
- 고려 중기 東人意識의 형성과 詩文選集의 편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