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조 연간 지식인들의 『春秋』 역법 이해와 『日知錄』의 영향
이용수 362
- 영문명
- In the period of king Jung-jo Ri zhi Lu's influence with its focus on chūnqiū's calendar
- 발행기관
-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 저자명
- 신재식(Shin, Jae-sik)
- 간행물 정보
- 『동양한문학연구』東洋漢文學硏究 第36輯, 147~17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2.28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정조 연간의 『春秋』 역법 이해를 중심으로 조선 후기 『日知錄』의 수용 사례를 검토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정조 연간 『日知錄』 등과 같은 淸代 考證學 관련 서적이 대거 청나라에서 유입되면서 실증적 학풍이 학자들에게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春秋』와 같은 역사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건의 시점을 확정짓는 것이 중요한데, 이는 유사한 시기의 텍스트와 비교 검토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하므로 고증학적 연구방법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따라서 顧炎武의 설에 입각한 조선 후기 지식인들의 『春秋』 역법 이해는 청대 고증학풍 수용의 대표적 사례라 할 수 있다. 이에 정조 연간 학자들의 『春秋』 역법 이해에 대해 검토한 결과 『日知錄』의 견해를 대거 수용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예컨대 正祖, 成海應, 徐有榘 등은 『日知錄』을 통해 각국이 별도로 각자의 역법을 사용하였다는 설, 정삭을 고치면 계절과 월호도 바뀐다는 고염무의 설을 인지하였다. 이는 정조 연간 『春秋』 역법 이해에 있어 과거 胡安國의 주관적 설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던 풍조를 비판하고 실증적 학풍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고염무의 『日知錄』이 적지 않은 기여를 하였음을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조선 학계가 유연한 자세로 청대 실증적 학풍을 소화하여 기존 문제를 비판하고 보완해 나가는 과정을 검토했다는 점에서 적지 않은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research Ri zhi Lu's influence with its focus on an academic tendency of chūnqiū's calendar in late Chosun Dynasty.
During the period of king Jung-jo, a trade between Chosun and Qing Dynasty became active and an enormous amount of academic books such as Ri zhi Lu flew into Chosun. Following this trend, scholars officially took much interest in a positive scholarship of early Qing Dynasty.
To understand history books such as chūnqiū, the one most important fact is providing a single point of event. To do so, we have to contrast it with texts of a similar period. This way is closely related to bibliographical study of Qīng Dynasty. So, Chosun Scholars's understanding history books such as chūnqiū through Qing Dynasty scholar Gu Yan-Wu's theories are one of accept scholarship of early Qing Dynasty.
After researching Chosun Scholars's understanding chūnqiū's calendar, we can see the following facts:All country of Xia Shang Zhou period had each calender. If some dynasty amend former dynasty's calendar, season and month will be changed.
This implies that scholars in late Chosun Dynasty, criticized non-critcal study attitudes such as Hu An-guo because of Ri zhi Lu. This an academic tendency is meaningful that scholars in late Chosun Dynasty had receptive to a scholarship of early Qing Dynasty and achieved a complete mastery.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정조 이전 『春秋』 역법 이해와 『春秋傳』
Ⅲ. 정조 연간 『春秋』 역법 이해와 『日知錄』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茶山과 明ㆍ淸 文學
- 茶山과 日本 古學派 太宰春臺의 經權論
- 庚寅通信使(1590)의 文化使節로서의 성격
- 정조 연간 지식인들의 『春秋』 역법 이해와 『日知錄』의 영향
- 『東人詩話』에 수용된 중국 詩學書 연구
- 한중소설의 婚姻과 戀愛觀에 대한 소론
- 河濱 愼後聃의 『대학』 해석과 그 의미
- 尹行恁의 「薪湖隨筆_『大學』」 해석을 통해 본 18세기 학문논쟁의 한 국면
- 南冥學派의 展開過程에서 來庵 鄭仁弘에 대한 認識 再考
- 『幷世才彦錄』을 통해 본 이규상의 世界認識
- 试论明清时期汉语语音近三百年的演变
- 黃景源의 시에 나타난 對明義理의 양상과 성격
- 고려 중기 東人意識의 형성과 詩文選集의 편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