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규교사 직무 역량 실태 분석
이용수 1,244
- 영문명
- An analysis on job competency of novice teachers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김희규(Kim, Hee-Kyu) 주영효(Joo, Young Hyeo)
- 간행물 정보
- 『교육문제연구』敎育問題硏究 第52輯, 1~25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8.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신규교사 직무 역량 실태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신규교사 직무 관련 선행연구 고찰 및 전문가와의 협의를 통해 학급경영, 수업지도, 전문성 개발, 학교경영 등 네 개의 직무 역량 영역과 13개의 하위 역량으로 구성되는 분석 준거를 구안하고, 분석준거를 토대로 조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설문 조사는 전국 초ㆍ중등학교 176개교 교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교사 1,168명, 보직교사 332명, 학교행정가 56명 등 총 1,556명이 응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Statistic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두 단계로 나누어 자료 처리 및 분석을 진행하였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조사 문항별 중요도 및 수행도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학교급 및 직위별 F 검증을 통해 집단 간 평균 차이 결과를 살펴보았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조사 문항별로 중요도-수행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신규교사가 갖추어야 할 네 가지 직무 역량 모두 중요도 평균에 비해 수행도 평균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중요도가 높은 직무 역량으로는 교사와 학생 간의 관계 형성, 학생 간의 관계 이해, 생활지도 등의 순이었으며, 행정업무 처리, 교사ㆍ학부모ㆍ지역사회와 관계 형성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셋째, 수행도가 높은 직무 역량은 담당 교과지식, 수업실행 전략, 교사와 학생 간의 관계 형성 등이었으며, 중요도와 마찬가지로 행정업무 처리, 교사ㆍ학부모ㆍ지역사회와 관계 형성은 수행도가 낮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IPA 기법에 따른 중요도-수행도 분석 결과, 13개의 신규교사의 직무 역량 가운데 유지나 개선이 필요한 "유지" 및 "집중" 영역으로는 8개 요소(61.5%)가 분류되었고, 개선을 위한 노력을 지양 혹은 우선순위가 낮은 "낮은 우선순위" 및 "과잉노력지양" 영역으로는 전체 13개 직무 역량 가운데 5개 요소(38.5%)가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job competency of novice teachers. After scrutinizing theoretical research and empirical evidence about beginning teachers' work, the research constructed analysis criteria. Next, we developed a survey instrument, which is composed of 4 job competency domains (13 sub-domains), by using the analysis criteria. The data was gathered from teachers, vice-principals, principals, and head teacher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from March 3, 2014 to March 9, 2014. The total number of the respondents was 1,556. We followed two steps to analyze the data: first, the study examined group mean differences regarding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for the job; and second, we conducte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at 1) the degree of importance of the 4 job competency domains was higher than the degree of performance and 2) the result of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regarding 13 sub-domains of novice teachers' job competency showed that the number of the area of "Keep up the Good Work" and "Concentrate Here" was 8 (61.5%), and the number of the area of "Low Priority" and "Possible Overkill" was 5 (38.5%).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