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적 지지와 장애대학생 학업적응의 관계
이용수 462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Disability Identity in Social Support and Adjustment to College of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문주영(Moon, Juyeong) 손승현(Son, Seung Hyun) 이예다나(Lee, Yedana)
- 간행물 정보
- 『교육문제연구』敎育問題硏究 第52輯, 53~75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8.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대학생의 학업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인과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의 학업적응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직접효과와 장애정체감을 매개로한 매개효과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장애정체감의 사회적 지지와 학업적응의 관계에서의 매개효과 검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장애정체감은 사회적 지지와 학업적응 관계에서는 부분매개효과를, 그리고 사회적 지지와 학업적응의 하위변인인 동기화에서는 완전매개효과를 가졌다. 즉 사회적 지지가 장애대학생의 학업적응과 동기화를 직접적으로 높이기보다 장애정체감이라는 매개변인을 통해 동기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가 장애정체감과 같은 심리적 적응을 높이고 심리적 적응이 학업적응 중에서도 동기화를 높이는 방식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를 강화함으로써 장애정체감과 같은 심리적 적응을 높이고 궁극적으로 장애대학생의 학업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장애대학생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학업적응 지원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이를 적용한 중재연구가 후속연구로서 진행되길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casual 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affecting on academic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us,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direct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mediating effect of the disability identity on the academic adjustment to college. Results show that social support, directly and indirectly, exerts on academic adjustment to colleg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disability identity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social support and academic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ereas the disability identity have a full mediating effect between social support and motivation of academic adjustment.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suggests that social support, the factor in improving academic adjustment to colleg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disability identity is a factor in accepting them from the difficulties in adjustment to college due to their conditions. Also, this result implies that higher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must consider both social support and psycho-social intervention to promote academic adjustment to college of student with disabilities. Therefore, this study discussed that to promote the disability identity of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current support resources should be implemented in an integrated system that links college, home, and local social organizations and provides social support as each individual's adaptation resource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