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문학 대중화사업의 BSC 성과평가모형 개발
이용수 203
- 영문명
- A Study on the BSC Development for Humanities Popularization Project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안영식(Ahn, Youngsik) 윤명희(Yun, Myunghee) 김영석(Kim, Youngsek) 서희정(Seo, Heejung) 김경희(Kim, Keunghee)
- 간행물 정보
- 『교육문제연구』敎育問題硏究 第52輯, 125~157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8.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인문학 대중화사업의 운영 성과의 제고와 확산을 위하여 사업의 포괄적 운영 과정 및 성과에 대하여 BSC를 적용하여 성과평가모형을 개발하였다. 먼저, 문헌 탐색과 전문가 조사를 통해 사업의 미션 및 비전, 관점, 핵심성과요인, 핵심성과지표로 구안된 모형의 초안을 설계하였다. 이를 패널의 의견 일치 정도로 모형의 내용타당도를 검토하는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인문학 관련 전문가 46명의 패널을 대상으로 세 차례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모형을 수정 보완하는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개발된 인문학 대중화사업의 BSC 성과평가모형은 사업의 미션과 사회적ㆍ개인적 차원의 비전으로부터 도출된 5개의 관점, 10개의 핵심성과요인, 33개의 핵심성과지표로 구성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인문학 대중화사업을 대상으로 실제 성과평가를 수행할 때 개념적이고 실증적인 평가도구로, 국가 차원의 사업지원을 위한 정책 수립의 객관적 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of Humanities Popularization Project by using Balanced Scorecard(BSC). Through literature review, mission, visions, perspectives, critical success factors, key performance indicators of the project were developed. Then, this study used Delphi research method three times with 46 panels of specialists in order to examine content validity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This study suggested five perspectives, which are 'learner', 'managing process', 'organization's learning and development', 'resources', and 'community.' Each perspective had two critical success factors and each critical success factor had three to four key performance indicators; therefore, the BSC of the Humanities Popularization Project comprised of ten critical success factors and thirty-three key performance indicato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cademic significance and practical meaning of the model were discussed.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일상생활활동 교육과정과 연계한 지체중복장애학생의 구강관리 지원: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