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반계고등학교 부장교사 문화에 대한 문화기술적 사례 연구
이용수 764
- 영문명
- An Ethnographic Case Study on Chief Teachers' Culture at an Academic High School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양승관(Yang, Seung-Kwan) 김병찬(Kim, Byeong-Chan)
- 간행물 정보
- 『교육문제연구』敎育問題硏究 第52輯, 159~193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8.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일반계고등학교 부장교사문화의 특징을 밝혀내고자 하는 문화기술적 사례 연구이다. 이를 위해 한 일반계고등학교 부장교사들을 대상으로 2013년 2월부터 2013년 10월까지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중심의 문화기술적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드러난 일반계고등학교 부장교사문화의 특징은 관리자 관련 문화로 "주체성이 약한 문화", "팔방미인 요구받기 문화"로 나타났고, 부장교사와 동료교사와의 관계 문화로는 "외톨이 문화", "내 식구 문화", "속앓이 문화"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부장교사문화는 관리자와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눈치를 보면서 순응적으로 반응하며, 동료교사나 부장교사들과의 관계에서는 같은 식구들을 챙기려하지만, 자기중심적인 교사문화 때문에 혼자 버려진 심정으로 일을 처리하면서 속으로 애를 태우는 문화가 주요 특징인 것으로 드러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an academic high school chief teachers's culture. Research data has been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direct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 and text-analysis from the academic high school chief teachers.
Five main characteristics of an academic high school chief teachers' culture were discovered through this study. 'The culture of weak independence', 'the culture being demanded for the chief teachers to be a well-rounded person', are as a culture of chief teachers related to the principal. 'The culture of suffering in silence', 'the culture of being left alone', ' the culture of the same family' are as a culture of related to colleagues and other chief teachers.
'The culture of weak independence' is the culture that the chief teachers have to obey the orders of the principal. 'The culture of being demanded for chief teachers to be a well-rounded person', is the aspect of the chief teachers to try to survive in the school. 'The culture of suffering in silence' is the feeling that the chief teachers have in the innermost mind from the co-workers while doing the school affairs. 'Feeling sorry', 'feeling a sense of alienation', 'feeling hateful' are examples. 'The culture of being left alone' is that the chief teachers are trying to do the given official work without other's help around them. 'The culture of the same family' is the one that the chief teachers are trying to live in the school through trusting and taking care of the same department teachers when they deal with some difficult and challenging task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및 과정
Ⅳ. '행복고등학교' 부장교사 문화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