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태양광발전설비산업의 부가가치, 피용자보수 및 고용에 대한 유발효과 비교 분석
이용수 274
- 영문명
- Induced Analysis for Value Added, Compensation of Employees and Employment Effect of Photovoltaic Equipment Industry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경제통상학회
- 저자명
- 김윤경(Yoon Kyung Kim)
- 간행물 정보
- 『경제연구』經濟硏究 第31卷 第4號, 179~199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1.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태양광발전설비를 반영한 2009년 산업연관표와 고용표를 작성하여 태양광발전설비 제조산업의 부가가치유발효과, 피용자보수유발효과, 고용유발효과들을 추정하여 다른 산업의 유발효과와 비교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2009년 기준으로 태양광발전설비산업의 부가가치유발효과는 최종수요 10억 원에 대해서 503.8백만 원으로 3차산업의 부가가치유발수준보다는 낮지만, 2차산업에 포함되는 다른 산업들에 비해서 낮다고 하기 어렵다. 태양광발전설비산업의 피용자보수유발효과는 최종수요 10억 원에 대해서 170.6백만 원으로 3차산업 및 2차산업에 포함되는 다른 산업들의 효과보다 낮다. 태양광발전설비산업의 고용유발효과는 최종수요 10억 원에 대해서 2.9명이었다. 이는 2차산업 내의 다른 산업들의 고용유발효과보다는 작은 수준이다. 부가가치유발효과, 피용자보수유발효과, 고용유발효과측면에서 보면 태양광발전설비를 제조하는 산업은 2차산업에 포함되는 다른 설비제조업과 유사한 수준의 유발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태양광발전설비산업이 갖는 부가가치유발효과, 피용자보수유발효과, 고용유발효과측면에서 이 산업의 유용성이나 우위성을 언급하기는 어렵다. 이는 태양광발전설비산업을 여타의 다른 제조업과 같은 기준을 적용하여 비교하기 보다는 태양광발전설비산업이 다른 제조업과 달리 신재생에너지원을 확대하기 위해서 필요한 설비를 제조하므로 이러한 환경친화적 측면을 기준으로 비교되어야 유용성이 부각된다는 점을 알려준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estimated induced effect such as value added, compensation of employees and employment of each industry including Photovoltaic equipment manufacture industry, and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industries. Induced value added from final demand 1 billion Won of photovoltaic equipment manufacture industry is 503.8 million Won. This is lower than that of the 3rd industry and similar with that of other industry in the 2nd industry. Induced compensation of employees from final demand 1 billion Won of photovoltaic equipment manufacture industry is 170.6 million Won. This is lower than that of the 2nd and the 3rd industry. Induced employment from final demand 1 billion Won of photovoltaic equipment manufacture industry is 2.9 people. This is lower than that of the other manufacture industry. As empirical results proved on this paper, photovoltaic equipment manufacture industry has similar induced effect with such as other manufacture industries. However photovoltaic equipment manufacture industry supply equipment to deploy renewable energy source. Therefore it is needed for us to consider environmental friendly clause when promotion policy is adapted.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태양광발전설비산업 반영의 산업연관표 2009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격차 결정요인 분석
- 한ㆍ중 FTA 체결이 경북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Welfare Analysis of Corporate Tax Policy in Japan
- 공기업의 비효율성과 정부보조금이 민영화에 미치는 영향
- 노동시장 미스매치의 현황과 일자리 정책
- Should Korea Join the TPP?: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Trade Effect
- Board Size, Board Diversity, and Firm Performance: A Comparison of Japan and the United States
- 태양광발전설비산업의 부가가치, 피용자보수 및 고용에 대한 유발효과 비교 분석
- 정부정책이 재생에너지산업 생산 확대에 미치는 장단기 영향 분석
- 금융중개부문 신용마찰과 경기변동
- 순차적 상호의존선호와 능력을 고려한 경합모형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