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Should Korea Join the TPP?: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Trade Effect
이용수 530
- 영문명
- 한국은 환태평양 경제동반자협정에 가입해야 하는가?: 무역효과의 경험적 분석
- 발행기관
- 한국경제통상학회
- 저자명
- 이동해(Donghae Lee) 홍운성(Wan-Sing Hung)
- 간행물 정보
- 『경제연구』經濟硏究 第31卷 第4號, 133~155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1.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에 미국이 환태평양 경제동반자협정(Trans-Pascific Partnership)을 통해 지속적으로 경제통합과 무역권에 영향을 미치도록 지배하고 있다.
한국은 아직까지 환태평양 동반자협정에 가입을 고려하고 있다. 한편, 중국은 아세안+3에 강한 지지를 보여주며, 아세안+3와 아세안+6에도 협상을 진행 중이다. 한국의 가입이 동아시아 경제통합과 무역권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한국의 다른 무역권 가입에 대한 무역창출 효과에 관한 연구이다. 본 논문은 경험적 연구와 중력모델을 사용하여 1990년부터 2011년까지 한국이 22개국간의 무역자료를 이용해서 다른 무역권에 가입하는 것이 이익인가를 분석한다.
영문 초록
In recent years, the US dominated Trans-Pacific Partnership (TPP) has been continuously expanded to be one of the influencing economic integration and trade blocs in Asia-Pacific. South Korea has also been invited to join the TPP but she is still under consideration. On the other hand, China shows an aggressive support to ASEAN+3 and is already turning its direction on negotiating the ASEAN+3 and/or ASEAN+6. Any step made by South Korea will cast a great impact on the future of East Asian economic integration and trade bloc, and also have th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outh Korean economy. Therefore, it is very interesting to study and measure the trade creation effects from joining such different trade blocs for South Korea. This is an empirical study and applies the gravity model by using trade data of South Korea with twenty-two trade partners from 1900 to 2011 to identify the benefits from different trade blocs, and to review which direction should be the best for South Korea to join.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Some backgrounds of TPP and ASEAN+
Ⅲ. Motivations for South Korea to join the TPP or ASEAN+3
Ⅳ. Empirical Analysis Method -
Ⅴ. Empirical Results and Analyses of the trade effects
Ⅵ.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요약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격차 결정요인 분석
- 한ㆍ중 FTA 체결이 경북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Welfare Analysis of Corporate Tax Policy in Japan
- 공기업의 비효율성과 정부보조금이 민영화에 미치는 영향
- 노동시장 미스매치의 현황과 일자리 정책
- Should Korea Join the TPP?: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Trade Effect
- Board Size, Board Diversity, and Firm Performance: A Comparison of Japan and the United States
- 태양광발전설비산업의 부가가치, 피용자보수 및 고용에 대한 유발효과 비교 분석
- 정부정책이 재생에너지산업 생산 확대에 미치는 장단기 영향 분석
- 금융중개부문 신용마찰과 경기변동
- 순차적 상호의존선호와 능력을 고려한 경합모형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