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Embedding Instruction for Students in Inclusive Classrooms: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embedding instruction as a instructional delivery model for individualized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이수정(Lee Soojeoung)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48권 제2호, 167~19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9.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학령기 통합학급에 적용된 삽입교수 관련 실험연구의 연구 동향과 주제별 특성, 학령기에 적용된 삽입교수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학령기 통합학급에서 개별화교육 실행 전략으로서의 적용가능성과 미래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논문을 선정한 결과, 국내연구는 한 편도 선정되지 않았고 해외연구는 기준에 따라 총13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논문에 대한 분석결과, 학령기 통합학급에 적용된 삽입교수 관련 실험연구는 크게 중재자 훈련 효과 검증 연구, 삽입교수 효과 검증 연구, 중재 비교 연구의 3가지 주제로 이루어졌으며 주로 중학교 또는 초등학교에서 지적장애 학생이나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가 실시되었다. 각 주제별 연구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설계, 중재자 및 학생 관련 종속변인, 결과 등을 분석하였고 중재 비교 연구의 경우 비교한 독립변인을 부가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학령기 통합학급에서 실시된 삽입교수의 실행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중재자와 관련하여 각 실험환경별 중재자, 중재자 훈련 방법과 이에 따른 중재 충실도를 살펴보았고 삽입교수의 실행방법을 삽입 유형, 삽입 횟수, 사용한 교수전략, 목표기술 유형 및 선정 근거, 교수계획 문서 활용 여부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개별화교육 실행을 위한 교수전달모델로서의 삽입교수 적용 가능성을 논의하고 삽입교수의 효과 검증과 통합 환경에서의 실행가능성 제고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Embedding instruction is a promising instructional delivery model that enables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accomplish individualized goals in inclusive classroo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xperimental studies on embedding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room. A total of 13 articles were selected based on criteria, which are all overseas because there are no domestic studies to meet the criteria. The topics of these studies can be categorized as follows; 1) studies to compare the effects or efficacies of embedding instruction with them of other intervention, 2) studies to investigate effects of the teacher(ex. paraprofessional, peer, general education teacher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3) studies to search effects of embedded intervention. The study characteristics such as experimental design, dependent variables and results were analyzed along the topics of studies. Then, the analys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how to implement embedding instruction in inclusive classroom. Finally, implications of the results for embedding instruction in inclusive classroom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개인중심계획을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중학생의 진로태도, 성취동기 및 교육계획 자기효능감과 성과기대에 미친 효과
-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체계 개발 기초연구
- 명문 대학에 입학한 장애학생 실태조사
- MGL운동교육이 지적장애학생의 건강체력에 미치는 영향
- 특수교사의 교육신념과 현장 적용성에 관한 연구
- 논의를 강조한 탐구학습법에 따른 통합학급 초등학생의 단어 활용, 독해 및 쓰기 능력
- 학령기 통합학급에 적용된 삽입교수 관련 실험연구 고찰
- 통합교육 환경 개선을 위한 제도개혁 과제
-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를 적용한 청각장애아동 대상 e교과서 설계원리 개발
- 특수학교 보완ㆍ대체 의사소통체계 사용 실태
- 특수학교 교사의 교직헌신 척도에 대한 타당성 분석
- 스마트러닝 연구동향 분석을 통한 특수교육에서의 스마트러닝
- 특수교육대상자 방과후 학교 운영에 대한 주요 언론기사 분석연구
- 장애학생들의 문제해결기술 중재효과에 관한 실험연구 분석
- 기능성 언어 게임이 지적장애학생의 단어재인과 의미론에 미치는 효과
- 학령기 말더듬아동의 문장구성능력 특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생인권과 교권은 상충되는가? : 아동학대 관련 판례를 중심으로
- ‘교육활동 방해 학생의 치료권고 및 분리, 제지’와 ‘학교인권법’에 관한 연구
- 한·중·일 초·중·고교 교원 보수제도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