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f Teacher Salary Systems for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in China, Korea, and Japan from a Legal Perspective
- 발행기관
- 대한교육법학회
- 저자명
- 장위경(WEIQIONG ZHANG) 김병주(Byoung-Joo Kim)
- 간행물 정보
- 『1. 교육법학연구』제37권 제2호, 113~145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교원 보수 제도는 교원의 안정성과 적극성에 매우 중요하다. 이 논문은 법학 관점에서 한중일 세 나라의 초중고 교원 보수 제도를 비교 연구하였다. 세 나라는 모두 입법을 통해 교원 보수 제도를 구축하지만, 뚜렷한 차이가 존재한다. 중국은 “교원의 평균 보수는 공무원보다 낮지 않다”는 원칙을 확립하고 직무 성과급제를 시행하지만, 지역 및 도시 및 농촌 격차가 크게 나타났다. 한국은 고정 임금 및 국가 표준에 따르며, 수당은 지역 및 특수 직위의 차이를 반영하며, 기본적으로 사립학교와 공립학교의 교원 처우도 동일하다. 일본은 교원을 공무원 시스템에 포함시키고 연공서열 등급 임금제를 실시한다. 법적 보장이 강하고 도시 및 농촌 격차가 적다. 시행 효과를 보면, 한일 간의 '다층 입법+다층 감독' 모델은 실행력이 강하며, 중국은 세부 규정과 강제력이 부족하여 일부 지역에서 교원 보수가 연체되거나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존재한다. 중국은 한일의 경험을 참고하여 「교사법」을 개정하고, 정량적 조항을 추가하며, 3단계 규범 체계를 구축하고, 권한과 책임을 명확히 하며, 독립적인 감독 메커니즘을 구축하여 교원 보수 제도의 “양법선치(良法善治)”를 실현해야 한다.
영문 초록
In the context of global educational competition, teacher salary systems are crucial for the stability and enthusiasm of the teacher workforce. This article conducts a comparative study of the teacher salary systems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in China, Japan, and South Korea from a legal perspective, applying theories of comparative law, educational law, and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all three countries belong to the civil law system and have established teacher salary systems through legislation, but there are significant indigenous differences. China establishes the principle that teachers' average salaries should not be lower than those of civil servants, but there are significant regional and urban disparities; Japan includes teachers in its system with strong legal safeguards; South Korea has fixed salaries and special allowances. From an implementation perspective, Japan and South Korea's “multi-layered legislation + multi-faceted supervision” model is highly enforceable. In some regions, China faces issues such as teacher salaries being拖欠。 and falling short of standards due to a lack of detailed regulations and rigid constraints. Research suggests that China should draw on the experiences of Japan and South Korea to revise the Teachers' Law, add quantitative provisions, establish a three-tier normative system, clarify responsibilities, and establish an independent oversight mechanism to achieve “good law and good governance” in teacher salary systems.
목차
Ⅰ. 서론
Ⅱ. 중국의 초·중·고 교원 보수제도
Ⅲ. 한국의 초·중·고 교원 보수제도
Ⅳ. 일본의 초·중·고 교원 보수제도
Ⅴ. 한·중·일 초·중·고 교원 보수제도 비교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연쇄적 베이지안 추론을 적용한 학습전략 사용 및 효과 판단의 착각현상 분석
- 중국인 유학생 대상 해결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K대학교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 일상 속 인성덕목을 반영한 유아인성교육 실천방안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