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체계 개발 기초연구

이용수  1,348

영문명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김두영(Kim, Doo-Young) 박원희(Park, Won-Hee)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학연구』제48권 제2호, 245~27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9.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체계적인 분류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 수행을 위하여 먼저, 장애인복지관, 장애인야학, 장애인주간보호센터,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점자도서관, 대학부설 장애인 평생교육원,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산하 장애인 직업훈련기관 등 모두 104개 기관 873개의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조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명칭, 목적, 내용, 대상, 형식, 장소를 기준으로 프로그램 조사표를 작성하였다. 이를 귀납적으로 적용하여 평생교육법 제2조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6개 영역을 근거로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대분류를 설정하고, 평생교육진흥원에서 개발한 한국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체계를 참조하여 기관별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데이터의 범주화를 실시함으로써 중분류의 정의 및 각 영역별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예시를 간단히 표로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체계는 일반분류체계로서 향후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표준분류체계 개발 연구를 위한 기초연구로서의 역할은 물론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평가 틀을 구성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장애인 평생교육 지원정책의 근거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current study is implemented to develop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04 institutions which have services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institution included welfare center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night school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vocational training centers in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the libraries for the blind, independent living centers, lifelong education center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t universities. Through the survey, 873 programs were investigated to develop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Firstly, 873 programs were classified into 5 different areas such as purposes, contents, subjects, forms and places for the survey. With this result, the lifelong education act and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established a large-classification system on lifelong education program of people with disabilities based on academic ability of supplementation education, basic literacy education for adults, vocational education, culture-arts education and civil participation education. Further, this study suggested a middle-classification system with categorizing program data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at this study suggests, could be a guideline for development of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program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s well as an evaluation system. In addi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be helpful for establishing policies on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두영(Kim, Doo-Young),박원희(Park, Won-Hee). (2013).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체계 개발 기초연구. 특수교육학연구, 48 (2), 245-271

MLA

김두영(Kim, Doo-Young),박원희(Park, Won-Hee).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체계 개발 기초연구." 특수교육학연구, 48.2(2013): 245-2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