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Serious Language Game on Word-Recognition and Semantic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이태수(Lee, Taesu) 이승훈(Yi, Seunghoon)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48권 제2호, 71~9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9.30
4,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지적장애 학생의 언어능력 향상을 위하여 기능성 언어 게임을 개발하고, 사례연구를 통하여 게임의 효과를 파악하는 데 주요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능성 언어게임을 롤 플레잉 게임(RPG) 형태로 제작하였고, 게임은 기초훈련, 수용언어훈련, 표현언어 훈련의 세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게임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사례연구는 전라남도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에 재학하고 있는 초등부 지적장애학생 6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기능성 언어 게임을 활용하여 게임 기반 언어 중재를 받았고, 통제집단은 전통적인 그림낱말카드를 이용하여 어휘학습을 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단어재인과 의미론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이루었다. 특히, 경도 장애의 경우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단어재인과 의미론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그러나 중증 장애의 경우, 단어재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을 뿐 의미론에서는 두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즉, 기능성 언어 게임을 활용한 게임 기반 언어 중재는 경도 장애학생과 중증 장애학생의 단어재인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방법이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developed the serious game to improve the language abilitie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evelopment disorders and analyzed the effects of the serious language game on word recognition and semantics. The type of a serious language game was Role Playing Game(RPG) and was made up three mini-game which was the basic training game, the receptive language game, and the expressive language game. The case study to analyse effects of the serious game was performed in Jeollanam-do. We selected 64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who were attending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The experimental group were received a game-based language intervention by using the serious language game which was developed. But the control group was received the traditional intervention by using picture-words cards. In the result of study, performances of the experimental group on words-recognition and semantics were more improvement than the control group's. Especially, scores of experimental group with mild disability in words-recognition and semantics were more higher than control group's and was statistical significantly differences. But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ith serious disability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tly differences on the semantic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기능성 언어 훈련 게임의 개요
Ⅲ. 사례연구 방법
Ⅳ. 사례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개인중심계획을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중학생의 진로태도, 성취동기 및 교육계획 자기효능감과 성과기대에 미친 효과
-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체계 개발 기초연구
- 명문 대학에 입학한 장애학생 실태조사
- MGL운동교육이 지적장애학생의 건강체력에 미치는 영향
- 특수교사의 교육신념과 현장 적용성에 관한 연구
- 논의를 강조한 탐구학습법에 따른 통합학급 초등학생의 단어 활용, 독해 및 쓰기 능력
- 학령기 통합학급에 적용된 삽입교수 관련 실험연구 고찰
- 통합교육 환경 개선을 위한 제도개혁 과제
-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를 적용한 청각장애아동 대상 e교과서 설계원리 개발
- 특수학교 보완ㆍ대체 의사소통체계 사용 실태
- 특수학교 교사의 교직헌신 척도에 대한 타당성 분석
- 스마트러닝 연구동향 분석을 통한 특수교육에서의 스마트러닝
- 특수교육대상자 방과후 학교 운영에 대한 주요 언론기사 분석연구
- 장애학생들의 문제해결기술 중재효과에 관한 실험연구 분석
- 기능성 언어 게임이 지적장애학생의 단어재인과 의미론에 미치는 효과
- 학령기 말더듬아동의 문장구성능력 특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생인권과 교권은 상충되는가? : 아동학대 관련 판례를 중심으로
- ‘교육활동 방해 학생의 치료권고 및 분리, 제지’와 ‘학교인권법’에 관한 연구
- 한·중·일 초·중·고교 교원 보수제도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