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Field Applicability and Educational Belief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정은혜(Jeong, Eun Hye) 전병운(Jeon Byung Un)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48권 제2호, 319~33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9.30
3,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특수교사들이 이상적인 신념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그 신념이 현실적으로 반영되는 정도는 다를 것으로 생각하여 교사들이 이상적으로 인식하는 교육적 신념이 학교 현장에서는 어느 정도 적용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사들의 신념을 측정하는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교육신념 척도는 특수교사의 교육신념을 측정하는 데 타당하고 신뢰성 있는 도구임을 나타냈다. 둘째, 어떤 유형의 교육신념이 현장 적용성 간에 상대적으로 많은 차이가 있는 지를 규명하였다. 셋째, 각 신념에 대해 특수교사들이 이상적으로 고려하는 수준과 현장 적용 수준은 모두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이상과 현실의 차이로 인한 특수교사들의 갈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현직 특수교사들의 재충전을 위한 재교육과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며, 특수교사의 교육적 신념 강화를 위한 전략을 개발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tent to which the educational belief of teachers are reflected in practical, assuming that, although they have those kinds of believes, the level of application may be different among teach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validation and reliability of tool for measuring belief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wed that this tool has good validity and reliability in measuring educational belief. Second, it is identified that the applicability level is varied by education believes. Thir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level of ideality teachers consider and the level of application in real were all positive(+).
These results provides information in seeking methods for minimizing the conflicts, within special education teachers, due to difference between ideal and reality. These also contribute to developing retaining and training program for energizing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may be utilized in developing strategies for enhancing educational belief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개인중심계획을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중학생의 진로태도, 성취동기 및 교육계획 자기효능감과 성과기대에 미친 효과
-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체계 개발 기초연구
- 명문 대학에 입학한 장애학생 실태조사
- MGL운동교육이 지적장애학생의 건강체력에 미치는 영향
- 특수교사의 교육신념과 현장 적용성에 관한 연구
- 논의를 강조한 탐구학습법에 따른 통합학급 초등학생의 단어 활용, 독해 및 쓰기 능력
- 학령기 통합학급에 적용된 삽입교수 관련 실험연구 고찰
- 통합교육 환경 개선을 위한 제도개혁 과제
-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를 적용한 청각장애아동 대상 e교과서 설계원리 개발
- 특수학교 보완ㆍ대체 의사소통체계 사용 실태
- 특수학교 교사의 교직헌신 척도에 대한 타당성 분석
- 스마트러닝 연구동향 분석을 통한 특수교육에서의 스마트러닝
- 특수교육대상자 방과후 학교 운영에 대한 주요 언론기사 분석연구
- 장애학생들의 문제해결기술 중재효과에 관한 실험연구 분석
- 기능성 언어 게임이 지적장애학생의 단어재인과 의미론에 미치는 효과
- 학령기 말더듬아동의 문장구성능력 특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생인권과 교권은 상충되는가? : 아동학대 관련 판례를 중심으로
- ‘교육활동 방해 학생의 치료권고 및 분리, 제지’와 ‘학교인권법’에 관한 연구
- 한·중·일 초·중·고교 교원 보수제도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