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개인중심계획을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중학생의 진로태도, 성취동기 및 교육계획 자기효능감과 성과기대에 미친 효과
이용수 1,371
- 영문명
- A Career Education Program with Person-Centered Planning: Effects on Career Attitude, Achievement Motivation, and Self-Efficacy/Outcome Expectancy for the Educational Planning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김은하(Kim, Eunha) 박승희(Park, Seunghee)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48권 제2호, 41~6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9.30
4,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개인중심계획(person-centered planning)을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중학교 특수학급 지적장애 중학생의 진로태도, 성취동기, 및 교육계획 자기효능감과 성과기대에 미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20명의 지적장애 중학생이 참여한 본 연구는 종속변인에 따라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진로태도, 성취동기)와 사전사후 단일집단 설계(교육계획 자기효능감과 성과기대)를 사용하였다. 각 10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배치하였고, 실험집단의 학생들에게는 총20회기 개인중심계획을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되었다. 개인중심계획 접근적 진로교육 수업은 진로발달의 중학생 시기에 적절한 내용(예: 자기이해), 개인중심계획 회의에 참여하는 데 요구되는 내용(예: 희망 진로목표 설정)과 기술(예: 자기소개하기)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개별 학생의 개인중심계획 회의에는 학생본인, 부모, 담임교사와 특수교사가 팀원으로, 연구자 1인이 촉진자로 참여하였다. 일반 중학교에서 연령에 적절한 진로교육을 개인중심계획을 활용한 형태로 개발하여 제공한 결과, 연구참여 지적장애 중학생의 진로태도, 성취동기 및 교육계획 자기효능감과 성과기대가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본 연구는 개인중심계획을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지적장애 중학생을 대상으로 국내에서 처음으로 개발하여 실행하고 긍정적 결과를 보고하는 첫 연구로서 의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과 '개인중심계획 접근'을 지적장애 학생의 진로교육에 보다 활발하게 적용하기 위한 제언과 본 연구의 제한성을 지적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program with person-centered planning on career attitude, achievement motivation, and self-efficacy/outcome expectancy for the educational plann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20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were enrolled in special classes in three public middle schools in Kyounggii-do. The program was implemented a total of 20 sessions during the spring semester of 2012 at two schools. The sessions consisted of 16 career education classes, 2 parent counseling sessions, and 2 person-centered planning meetings for each stud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1)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with the person-centered planning display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career attitude and achievement motivation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and (2)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s of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for the educational planning of experimental group students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This is the first experimental study reporting the positiv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programs with person-centered planning on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enrolled in general middle schools in Korea.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개인중심계획을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중학생의 진로태도, 성취동기 및 교육계획 자기효능감과 성과기대에 미친 효과
-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체계 개발 기초연구
- 명문 대학에 입학한 장애학생 실태조사
- MGL운동교육이 지적장애학생의 건강체력에 미치는 영향
- 특수교사의 교육신념과 현장 적용성에 관한 연구
- 논의를 강조한 탐구학습법에 따른 통합학급 초등학생의 단어 활용, 독해 및 쓰기 능력
- 학령기 통합학급에 적용된 삽입교수 관련 실험연구 고찰
- 통합교육 환경 개선을 위한 제도개혁 과제
-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를 적용한 청각장애아동 대상 e교과서 설계원리 개발
- 특수학교 보완ㆍ대체 의사소통체계 사용 실태
- 특수학교 교사의 교직헌신 척도에 대한 타당성 분석
- 스마트러닝 연구동향 분석을 통한 특수교육에서의 스마트러닝
- 특수교육대상자 방과후 학교 운영에 대한 주요 언론기사 분석연구
- 장애학생들의 문제해결기술 중재효과에 관한 실험연구 분석
- 기능성 언어 게임이 지적장애학생의 단어재인과 의미론에 미치는 효과
- 학령기 말더듬아동의 문장구성능력 특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생인권과 교권은 상충되는가? : 아동학대 관련 판례를 중심으로
- ‘교육활동 방해 학생의 치료권고 및 분리, 제지’와 ‘학교인권법’에 관한 연구
- 한·중·일 초·중·고교 교원 보수제도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