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금융발전이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이용수 393
- 영문명
-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Effect of Financial Development on Income Inequality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경제통상학회
- 저자명
- 박정희(Junghee Park)
- 간행물 정보
- 『경제연구』經濟硏究 第31卷 第2號, 155~180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5.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990-2010년 기간의 국내 거시경제자료를 사용하여 금융발전이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지니계수, 5분위배율을 소득불평등 번수로, 민간신용, 시장자본화를 금융발전 변수로 하여 각각 분석한 결과 해당 기간 동안 국내에서는 금융이 발전할수록 소득불평등은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기관 및 정부가 저소득층의 금융접근성을 실질적으로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생각하지 않는다면 금융발전을 통해 소득불평등을 완화하기는 매우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정부지출, 교육수준, 교육투자지출 등 대부분의 변수가 소득불평등을 확대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최근의 금융위기 하에서 소득양극화를 완화하기 위한 정부의 제반 정책 재정비가 시급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plores the effect of financial development on income inequality in Korea using macroeconomic data over the 1990-2010 period. Employing the bounds test approach of Pesaran et ai.(2001), I find that there is a long-term relationship between income inequality, financial development, and other control variables, such as government expenditure, educational level, economic growth, inflation, and educational investment. After finding the long term relationship, I estimate various ARDL models augmented by an error-correction term to find the most appropriate one, which shows the short run dynamics between those variables. Overall, the financial development turns out to have an adverse effect on income inequality. The results are quite robust to the change of variables representing income inequality and financial development.
Unless financial institutions and the government develop ways of improving the finance access for low-income households, the development of financial sector is not a good policy tool to reduce income inequality in Korea. On the other hand, the overall spending plan of the Korean government, especially in educational investment, should be reconsidered.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기존문헌 연구
Ⅲ. 실증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부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년층 인재유출 결정요인 분석과 정책과제: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 A New Survival Condition for Equilibrium with Financial Derivatives in Constrained Asset Markets
- 금융발전이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 소비자 납세협력 유인제도의 적정성
- 수입이 제조업 고용에 미친 영향
- 부산 금융중심지 육성을 위한 금융 백오피스 업무의 사업화 방안
- 유동성제약모형의 정량분석
- 대학교육의 기능 및 등록금과 임금체계
- KOSPI 개별기업들의 환노출과 금리노출
- 부산지역 소득5분위별 가구주 성별 학력별 균등화 생활비와 주거비ㆍ가처분 소득의 관계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