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입이 제조업 고용에 미친 영향
이용수 128
- 영문명
- Import Impacts on Manufacturing Employment
- 발행기관
- 한국경제통상학회
- 저자명
- 남병탁(Pyeong Tak Nahm)
- 간행물 정보
- 『경제연구』經濟硏究 第31卷 第2號, 181~198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5.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2000년에서 2006년까지 국제무역이 제조업 고용에 미친 영항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는 광업제조업통계조사, 산업연관표 무역통계를 연계하였고 분연방법은 시스템 일반화적률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수입칩투가 제조업 고용증가에 유의하게 영항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입증가로 생산의 효율성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생산을 확대시키면서 고용을 증가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해외아웃소싱은 계수가 양(+) 이었지만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산업별 해외아웃소싱이 국내 제조업의 고용을 의미 있는 정도로 늘리지는 않았지만 고용감소에는 영항을 미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셋째, 수출은 음의 계수를 보였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생산직 근로자의 경우는 수입침투율과 아웃소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각각 양과 음의 계수를 보였다. 이는 생산직 근로자의 겸우 아웃소싱이 유의한 수준은 아니지만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다섯째, 사무직 근로자의 경우 수입침투 증가가 고용증가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아웃소싱의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지만 생산직과 반대로 양의 계수를 보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s of imports on the employment in manufacturing in Korea from 2000 to 2006. We employed the System GMM with data obtained from the Survey of Mining and Manufacturing, Input-Output Table and SITC trade statistics. Ou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mport penetration ratio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 manufacturing employment. Second, global outsourcing had insignificantly positive impacts on employment. Third, export to production ratio had a negative but insignificant impact on the employment. Fourth, for the production workers outsourcing had a negative but insignificant impacts on the employment. Fifth, for the non-production workers import penetration ratio had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s on the employment and the effects of outsourcing were insignificantly negative.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실증분석모형
Ⅲ. 자료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년층 인재유출 결정요인 분석과 정책과제: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 A New Survival Condition for Equilibrium with Financial Derivatives in Constrained Asset Markets
- 금융발전이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 소비자 납세협력 유인제도의 적정성
- 수입이 제조업 고용에 미친 영향
- 부산 금융중심지 육성을 위한 금융 백오피스 업무의 사업화 방안
- 유동성제약모형의 정량분석
- 대학교육의 기능 및 등록금과 임금체계
- KOSPI 개별기업들의 환노출과 금리노출
- 부산지역 소득5분위별 가구주 성별 학력별 균등화 생활비와 주거비ㆍ가처분 소득의 관계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