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년층 인재유출 결정요인 분석과 정책과제: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이용수 760
- 영문명
- The Determinants of the Out-migration of Human Capital in Busan Metropolitan Area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경제통상학회
- 저자명
- 김기승(Gi-Seung Kim) 정민수(Min-Su Chung)
- 간행물 정보
- 『경제연구』經濟硏究 第31卷 第2號, 103~130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5.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지방의 인적자원의 유출은 지역경제의 활력을 떨어트리고 성장잠재력을 약화시킨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부산지역의 인력유출 현황을 살펴보고 이러한 유출이 어떠한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가를 실증분석해 보고자 한다. 아울러 이러한 인적자원 유출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지역의 전략을 모색한다. 분석결과, 수도권으로의 인력유출이 대학진학을 위해 그리고 대학졸업 후 취업을 위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미래소득(임금)이 고용가능성 보다는 더 중요한 결정요인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따라서 지역의 인적자원 유출을 막기 위해서는 지방 중소기업의 초임을 실질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지원정책을 마련하고 공공기관의 지역인재 채용을 활성화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고급 인적자원을 위한 별도의 정보관리 및 중개시스템 구축을 검토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영문 초록
The economic vitality and growth potential could be weakend by the out-migration of the human capital of the regional area. This paper analyzes the current trends of the out-migration of the human capital in Busan metropolitan area in Korea and try to find out the determainants of the human capital migration. In addition to these, we suggest the soulution to the problems caused by the out-migration in the area and reduce the out-migration rates. Some of the main results are the first out-migration are caused when they are highschool graduates entering college and the second trend occured when they are trying to get a job. The main deterπiinant was the future income (i.e., wage) rather than the employability. To reduce the high rate of out-migration, the regional government would do better to surpport the real wage of small size enterprise of the area. And also, the government would do better to establish a center for job matching for the job-seeker and the job vacancy for the high quality human capital.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인재유출(Brain Drain)에 대한 기존연구
Ⅲ. 부산지역 인재유출 현황
Ⅳ. 부산지역 청년층 인재유출 결정요인 분석
Ⅴ.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년층 인재유출 결정요인 분석과 정책과제: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 A New Survival Condition for Equilibrium with Financial Derivatives in Constrained Asset Markets
- 금융발전이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 소비자 납세협력 유인제도의 적정성
- 수입이 제조업 고용에 미친 영향
- 부산 금융중심지 육성을 위한 금융 백오피스 업무의 사업화 방안
- 유동성제약모형의 정량분석
- 대학교육의 기능 및 등록금과 임금체계
- KOSPI 개별기업들의 환노출과 금리노출
- 부산지역 소득5분위별 가구주 성별 학력별 균등화 생활비와 주거비ㆍ가처분 소득의 관계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