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龍洲 趙絅의 詩世界

이용수  112

영문명
The Poetic World of Yong-Ju(龍洲) Jo Kyung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정해출(Jeong Hae-Chul)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37輯, 159~192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龍洲 趙絅(1586∼1669)의 내면의식이 그의 작품 속에서 어떻게 투영되어 구현되고 있는가에 대해서 연구된 논문이다. 조경은 유년시절부터 여러 문사들에게 문학적 성취를 인정받았다. 약관의 나이에 五山 車天輅, 月沙 李廷龜, 白沙 李恒福 등으로부터 재주를 인정받을 만큼 文名이 있었다. 그의 나이 24세에 尹根壽의 문하에 나아가 학문의 차서와 방법에 대한 훈도를 받았으며, 거창 은거시절에는 寒岡 鄭逑의 학문을 계승한 茅溪 文緯로부터 경학을 전수받았다. 27세 때 사마시에 급제하여 성균관에 입학하였으나 광해군의 亂政과 李爾瞻의 횡포를 보고 과거를 단념하게 된다. 1623(인조 1)년 증광시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정언, 교리, 정랑을 지냈고 인조 1629(인조 7)년 湖堂에서 賜暇讀書하였으며, 1643(인조 21)년 통신부사로 일본에 사행하였다. 이후 대사간과 대사헌 , 대사성과 대제학, 형조•예조•이조판서에 제수되었으나 상소를 올려 사양한 것이 여러 차례였다. 광해군 때 북인의 출사 요구를 뿌리치고 거창•함양(안의) 등지에서 10여 년간 은거생활을 하였으며, 인조반정 이후 新進言官으로 조정에 出仕하였다. 당시 격렬한 언론활동으로 反正功臣들의 권력독점과 탐학을 공격하여 명망이 높았다. 조경의 교유인사를 보면 남인계를 비롯하여 서인계 인사에 까지 그 범위가 넓었다. 이는 조경이 鄭逑로부터 文緯를 잇는 학맥과 沙西金湜에 연원하는 윤근수의 문하에도 출입한데서 그 배경을 살필 수 있다. 이 같은 교유관계에서 나타나듯 조경은 정치적으로 許穆과 함께 남인계를 주도해 나갔던 대표적인 인물이었다. 이상의 간략한 서술에서도 알 수 있듯이 그의 일생은 실로 淸要職을 두루 거친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사림의 전형이었다. 뿐만 아니라 孤山 尹善道, 眉叟 許穆 그리고 白湖 尹鑴와 함께 경화 남인의 주도적인 위치에 있었다. 이런 점에서 조경에 대한 연구가 현재까지도 본격적으로 진행되지 못하는 것은 아쉬운 감이 있다 그나마 한시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진한 형편이다. 조경의 시는 자연에 머무르면서 감회를 읊은 시와 역사적 인물에 대한 회고시, 청나라의 무도함과 雪恥에 대한 대청의식과 북벌의지를 읊은 시가 주종을 이룬다. 본고에서는 그의 시세계를 세 범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그의 시를 소재와 주제에 따라 志操와 節義를 주제로 한 시, 遊玩과 自樂을 읊은 시, 그리고 養生과 超越에 대한 시 등으로 나누어 각 시세계의 특징을 보기로 하겠다. 이러한 작업이 앞으로 진행될 조경의 삶과 문학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의 단초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영문 초록

Yong-Ju(龍洲) Jo Kyung (1586~1669), the first son of Jo Ik-Nam, was born in the administrative area of Heungdukdong, Sungkyobang in Hanyang. By the time Yong-Ju had reached the tender age of twenty, he had already gained recognition as a talented writer, winning praise from renowned figures such as Baek-Sa(白沙) Lee Hang-Bok and Oh-San(五山) Cha Cheon-Ro. In 1609 (the first year of Kwanghaekun's regime), Yong-Ju received tutelage under Weol-Jeong (月汀) Yoon Keun-Soo. In 1613 he passed the Samasi, the state exam for recruiting government officials, and entered Sungkyunkwan, the foremost educational institution of the Joseon Dynasty. However, he decided to forgo the chance to work in the government after witnessing the corruption of Kwanghaekun and the tyranny of Lee Ih-Cheom. In 1623 (the first year of King Injo’s rule), he ranked first in the Jeung kwang state examination, assuming government posts such as Jungun, Kyolee, and Jungrang. Moreover, in 1629 (the seventh year of King Injo), Yong-Ju entered a sabbatical period at Hodang, an educational facility for young government officials. Fourteen years later, he was dispatched to Japan as an envoy. From that point on, however, he declined the higher government posts suggested by the King such as Daesaheon, Daesaseong, and Daejehak, as well as that of Minister of Justice, Minister of Culture and Education, and Minister of the Interior. Furthermore, he rejected a post offered by the Bukin faction in the regime of Kwanghaekun, retiring instead to a hermitage in Geochang for nearly ten years until returning to the government as a new royal counselor after King Injo’s restoration to the throne. At the time, he garnered a reputation for his fierce criticism against the greed, tyranny, and power monopoly of vassals who had gained power through a coup. The range of Yong-Ju’s social exchange not only encompassed the pro-Namin scholars but also the pro-Seoin scholars. This extensive exchange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he had been a pupil of Han-Gang(寒岡) Ku Jung, Mo-Gye(茅溪) Moon Wui, and Yoon Kun-Soo, who studied under Sa-Seo(沙西) Kim Sik. As can be seen from such relationships, it is apparent that Yong-Ju established himself as a distinguished political leader who led the Namin faction with Heo Mok. Judging by the above-mentioned chronological list, Yong-Ju could also be described as representative of the Sarim, a powerful literati faction, and as a civil servant who served in a wide range of crucial government posts in the middle Joseon Dynasty. Moreover, he was among the ranks of the leaders of the Namin faction, along with Go-San(孤山) Yoon Sun-Do, Mi-Soo(眉叟) Heo Mok, and Baek-Ho(白湖) Yoon Hyu. Given the extent of Yong-Ju’s contribution to the academic world, it is regrettable that a study of his life has yet to be conducted in earnest. Even research on his Chinese poetry has made very little progress. Yong-Ju would boldly leave government posts if they did not come in line with his view of the world and greater cause. Such decisions show that he was a truescholar of the era who chose justice over personal gain. Taking into account the fact that his poems were his first contribution to academia, this study briefly examines Yong-Ju’s life and reflects on his poetic world through domains divided by his consciousness as a writer. The study approaches Yong-Ju’s poetic world through the constructs of pure and noble principles, integrity, the enjoyment of nature, paradoxes in real lifeand Taoistic transcendentalism. Research of this kind is integral to an overall depiction of Chinese literatu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study also aims to become the starting point of future in depth research on Yong-Ju’s life and literature.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龍洲詩의 特徵的 世界
3.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해출(Jeong Hae-Chul). (2012).龍洲 趙絅의 詩世界. 대동한문학, 37 , 159-192

MLA

정해출(Jeong Hae-Chul). "龍洲 趙絅의 詩世界." 대동한문학, 37.(2012): 159-1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