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李尙迪에게 보낸 淸 文士의 尺牘과 文風의 疏通
이용수 158
- 영문명
- Letter of a Qing Scholar to Lee Sangjeok and Transfer of Literary Trend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 저자명
- 李春姬(Lichunji)
- 간행물 정보
-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37輯, 5~37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淸 文士가 李尙迪에게 보내준 尺牘의 내용을 단서로 해서 道咸연간의 문풍, 학풍이 조선에로 전파되었던 사실을 살펴보았다. 常州詞派는 19세기에 들어 宋學이 날로 성행하는 큰 흐름가운데서 詞壇의 주류로 부상 했던 유파이다. 顧炎武의 경세지학은 內憂外患으로 기울어져 가고 있던 시기에 선비로서의 자각과 우환의식을 일깨워주며 그것을 실천에 옮기게 한데서 보다 가치를 발휘했던 학문이다. 이러한 문풍, 학풍이 당시 청나라와 똑같이 환난을 겪고 있었던 조선 문단의 학인, 선비들과 소통을 거쳐 교류가 되었으리라 믿으면서 이에 대하여 고찰했다. 즉, 사(詞) 선집 <同聲集> 의 전달과 고염무에 제사지내는 ‘顧祠’모임의 정보를 서로 교환하는 등 구체적인 소통의 양상에 대하여 실증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to show the fact the literary trend or academic features during the daoguang(道光) and xianfeng(咸豊) years of Qing Dynasty was transferred to Joseon on the basis of the letter from a Qing scholar to LeeSangjeok(李尙迪). Sangjusapa(常州詞派) was a Confucius school that became a leader of Sadan(詞壇: scholastic group) in the main trend that Songhak(宋學) was getting prevalent in 19C. Ku Yenwu(顧炎武)'s administrative teaching gave the contemporary scholars the self-recognition and the warning during the declination of Dynasty because of internal and external troubles and more valuably led them into the practice. This literary trend or academic feature must have influenced on and been dispersed among Korean scholars and Seonbis who were suffering the same troubles of Qing through the mutual interchange. Under such a belief, this paper just showed an aspect of interchange as a first step. That is, it actually demonstrated the concrete proofs of interchange such as the transfer of a collection of Sa(詞: verses)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Ku shrine for Ku Yenwu.
목차
국문초록
1. 서언
2. 청 문사의 尺牘과 함께 보내진 常州派 詞學傾向
3. 청 문사의 尺牘과 함께 보내진‘顧祠’정보와 경세지학
4. 결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