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블렌디드 러닝 탐구 실험 수업의 효과
이용수 488
- 영문명
- The Effects of a Blended Learning Inquiry Laboratory Course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신예진(Shin, Yejin) 우애자(Woo, Aeja)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19집 제2호, 121~14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5.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탐구 실험 수업 방법을 개발하여 대학교「일반 화학 실험」수업에 한 학기 동안 적용한 후, 대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 ‘학습 동기’, ‘과학 관련 태도’ 및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실험 집단(N=20)에는 블렌디드 러닝 탐구 실험 수업을, 비교 집단(N=19)에는 전통적 실험 수업을 적용하였다. 블렌디드 러닝 탐구 실험 수업은 탐구 학습 모형을 바탕으로 ‘탐구 실험 문제의 도입’, ‘탐구 실험’, ‘보고서 작성 및 제출’의 3단계로 구성되며 온․오프라인 활동을 혼합하여 개발되었다. 블렌디드 러닝 탐구 실험 수업에 관한 본 연구의 결론은다음과 같다. 첫째, 면대면과 온라인상에서의 다양한 상호 작용과 교수자의 즉각적인 피드백이 학생들의‘과학 탐구 능력’과 그 하위 영역인 ‘기초 탐구 능력’, ‘통합 탐구 능력’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 동기’와 그 하위 영역인 ‘학습 신념의 통제’, ‘자기 효능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과학 관련 태도’와 그 하위 영역인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 ‘과학에 대한 취미적 관심’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넷째, 실험 집단의 학생들에게 블렌디드 러닝 활동에 대한 ‘수업 만족도’ 설문을 실시한 결과, 동시적 웹 토론 학습이 유용하였고, 동료 학습자보다는 교수자의 즉각적인 피드백을 더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ducational effects of a blended learning inquiry laboratory course when it is applied to a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course. Especially, the changes in 'inquiry ability', 'learning motivation', 'science related attitudes', and 'course satisfact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were examined. The blended learning inquiry laboratory course, based on inquiry learning, consisted of three stages: introduction to inquiry problems, inquiry experiments, and report writing and submission. Each stage was developed considering the online and offline activities. The experiment group (N=20) and the control group (N=19) carried out laboratory experiments separately, while having the same experiment topic for one
semester.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blended learning inquiry laboratory course effectively improved 'inquiry ability' and its sub categories, such as basic process skills and integrated process skills, by providing various on/offline interaction and instant feedback to the students. Second, it is statistically effective on 'learning motivation' and its sub-categories, such as control of learning belief and self efficiency. Third, it is statistically effective on 'science related attitudes' and its sub categories, such as attitude toward science inquiry and interest in science. Fourth, when a course satisfaction survey was carried out, students responded that it was useful to participate in a synchronous web conference and they preferred web conferences with an instructor rather than with the studen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