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장공모제’시범 적용 초등학교의 교장 직무수행 변화에 대한 질적 연구
이용수 787
- 영문명
- A Case Study on the Principal's Job Changes at Public Elementary Schools Implementing the ‘Open Recruitment System’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문찬수(Moon, Chansoo) 김혜숙(Kim, Hyesook)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19집 제2호, 1~2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5.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장공모제 적용 이후 단위학교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으며 그 변화의 특징이 무엇인지, 그리고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탐색하였다. 교장공모제 1차 시범 적용 초등학교 3개를 선정하여 학교구성원들의 인식 및 학교 내부 자료를 바탕으로 단위학교의 변화 여부를 교장의 직무수행 측면에서 살펴보았고, 교장공모제의 특성, 학교장의 특성, 학교 및 지역적 특성 등으로 나누어 변화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장공모제가 적용된 이후 교장 직무표준 영역별로 정도의 차이는 있었으나 단위학교는 학교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지역적 특색을 활용하여 교육과정을 다양화하고 있었으며 학교 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외부자원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학교는 외부와 소통하는 학교의 모습으로 변화하는 긍정적인 양상을 띠고 있는 반면, 교감과 교사 및 행정 직원들에게는 업무량이 많아지고 있어 일이 많은 학교라는 부정적인 의미로도 다가가고 있었다. 변화요인으로는 공모교장이 자신의 교육철학을 실현할 수 있는 학교를 선택하였고 심사과정에서 공개적으로 약속하였던 점 및 2년마다의 공모교장 평가로 인한 부담이 변화 추진의 동력으로 작용하였다. 이 결과는 단위학교의 긍정적인 변화를 위해서는 교장의 공모 및 선발, 평가 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으며, 교장공모제가 현행 교장임용제도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학교의 개선을 가져올 수 있는 대안적인 장치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그러나 교사 등 다른 구성원들이 느끼는 문제점과 절차상의 미비점도 적지 않은 만큼 체계적이고 종단적인 연구의 축적을 바탕으로 보다 신중하게 그리고 점진적으로 정책 모색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and the changes in, principals' job performance at each of three elementary schools after applying an open recruitment system for school principals, as well as the factors affecting such changes. The researcher interviewed school staff including principals, assistant principals, teachers, and parents at each school site. In addition, the internal data of the schools, document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open recruitment system, school principals, and regional conditions of the case schools were classified for analysis of the factors of such change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each school developed diversified curriculum by applying region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realize the school vision. Schools had utilized external resources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school resources. The opportunity to communicate with others was a positive aspect of the system; however, school principals, teachers, and staff had additional duties and more work, which led to a negative respon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open recruitment system for school principals were among the most important influencing factors noted. That is, school principals had chosen a particular school where they could realize their educational philosophy. They felt greatly responsible for their own school management and improvement plans and for the commitment to the public during the contest. In addition, the evaluation for principals is expected to be conducted every two years, which was also perceived as a driving factor for changes. Therefore, the open recruitment system for school principals, including the evaluation component, seems to be beneficial and is expected to result in positive changes in schools. Consequently, this indicates that such a system could be an alternative to solving problems of the current system of appointing school principals via promotion. However, considering such negative effects as teachers' workload, implementing the
open recruitment system for school principals needs to be done gradually and more carefully after further systematic research.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Ⅱ. 이론적 배경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