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에서의 교수활동지원 프로그램의 현황과 과제
이용수 468
- 영문명
- Current Situation and Some Suggestions on Teaching Development Programs in Higher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전영미(Jeon, Youngmee)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19집 제2호, 141~16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5.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학 교수학습개발센터에서 진행하는 다양한 교수활동지원 프로그램들의 질을 고찰하기 위한 첫 단계로서, 센터에서 제공하는 교수활동지원 프로그램들의 관점 및 현황을 파악하고 몇 가지 제안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서울 및 지방 14개 대학에서 실시하는 교수활동지원 프로그램들을 주요 연구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교수활동지원에 대한 전통적 관점과 대안적 관점을 구분하는 비교 기준으로는 반성과 실천, 동료와의 상호작용, 자발성, 실제 수업과의 관련성의 네 가지를 선정하였다. 이들 네 가지 기준에 의해 각 대학에서 진행하는 프로그램을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많은 프로그램들이 교수활동지원에 대한 전통적 관점에 가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수업의 전문성 향상을 추구하는 교수활동지원 프로그램은, 학습자들이 배운다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실제 수업에서 일어나는 문제나 상황을 중심으로 동료 교수자들이 일정 기간동안 서로 반성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회를 강조하는 대안적 관점을 보다 많이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request for teaching excellence has led the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university to focus on the teaching development programs more and m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think the quality of teaching development programs in higher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explored the two approaches underlying teaching development programs- teaching centered approach and learning centered approach -and approach underlying teaching development programs in 14 Korea universities.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ajor criteria that divide two approaches were reflection and application, willingness, interaction with peer groups, and relevance in real classes. Second, the major programs that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provides were workshops, teaching tip, teaching guideline book, course videotaping, course evaluation questionnaire, teaching community, microteaching, and teaching portfolio. Third, the programs were largely based on teaching centered approach.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programs for better teaching need to be conducted consciously and carefully toward learning
centered approach, because this is closely related to the teaching excellence.
                    목차
I. 서 론
	                       
	                          Ⅱ. 교수활동지원에 대한 관점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V. 논의 및 제안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