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Diagnosis of the Effectiveness of a Native Teacher in Co-teaching: Based on Survey Results in Korean Public Schools
이용수 141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Vaneza S. Gayrama Chang-In Lee
- 간행물 정보
- 『영어교과교육』영어교과교육 10권 1호, 47~7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3.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a native teacher in Co-teaching. This research uses 5 questions on 6 answer scale and two open-ended questions. The survey questionnaire results were used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about the students and parents perspective in the Native-Korean Co-teaching English classroom. This research sought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1) What kind of language skill is mostly improved from Co-teaching? 2) What is the students' perception about Co-teaching? 3) What is the parents' perception about Co-teaching?
A total of 244 schools (138 elementary, 85 middle, 21 high schools) or 7,320 number of students and 7,320 number of parent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for this study. The time of data collection was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09. The results from the survey questionnaires indicated that students and parents recognized the benefits and approved of having a native English teacher in their classroom, though the degree of positivity varied among students and parents. Students are concerned with pronunciation correction and fun activities while the parents are concerned with their students' confidence in English and interesting class. Parents' and students' perception of difficulties were centered around three main areas: teacher-related factors, language learning content factors, and other factors. These results imply the importance of the teacher's role, meaningful and appropriate class materials, and class atmosphere for students' successful language learning. To reduce student difficulties, teachers can consider and apply some suggestions made in this study based on the survey result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Ⅲ Research Method
Ⅳ. Findings and Discussion
Ⅴ. Concluding Remark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Proportion of Test Items Made and Skills Measured with the Reading Texts in High School English Tests
- 사이버대학 영어수업 토론방에서 집단크기에 따른 참여도 차이
- The Influence of the Current National Curriculum on Pre-service English Teacher Education in Korea
- 힙합(Hip Hop)을 활용한 유아영어지도가 음운인식과 흥미도에 미치는 효과
- 과학 · 수학 내용 중심 초등 영어 교재 분석 준거 개발 및 적용
- The Diagnosis of the Effectiveness of a Native Teacher in Co-teaching: Based on Survey Results in Korean Public Schools
- 중등 영어교사들의 다독 체험이 읽기 동기 부여 및 자신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
- 의미장 중심의 영어 어휘 지도 모형 개발(I)
- 발음 연계 어휘 학습을 통한 중학생의 어휘 기억 신장 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