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의미장 중심의 영어 어휘 지도 모형 개발(I)
이용수 659
- 영문명
- The Development of English Vocabulary Teaching Model Based on Semantic Field. Journal of the Korea English Education Society
- 발행기관
-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재근(Lee, Jaekeun)
- 간행물 정보
- 『영어교과교육』영어교과교육 10권 1호, 169~19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3.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collect and analyze the primary data collected from teachers and students to develop the semantic field-based English vocabulary teaching model. According to Maiguashca(1984), Nation(2001), and Crystal(2006), learners can do learn English vocabularies with ease through holistic-relational concept as well as synonymy and antonymy of English vocabulary. Like this, the semantic field approach considers vocabulary a kind of organized system or a collection of interrelating networks of relations of subcategories of words. For more effective teaching vocabulary in English education, this research planned to collect the teacher's as well as learner's needs by questionnaire survey and a free-answer survey. The results were analyzed based on the survey and used for vocabulary teaching model by class hour. As a result, for an effective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teaching vocabulary methods, the semantic field based vocabulary teaching needs more systematic approach to the learner's comprehension of the subcategories contained in words. In other words, however a word is not just a word but is like a bunch of the subcategorized set of word. The model will be expected to be efficient educational result in English vocabulary teaching.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내용 및 방법
Ⅳ. 연구 결과
Ⅳ 결론
참 고 문 헌
[부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Proportion of Test Items Made and Skills Measured with the Reading Texts in High School English Tests
- 사이버대학 영어수업 토론방에서 집단크기에 따른 참여도 차이
- The Influence of the Current National Curriculum on Pre-service English Teacher Education in Korea
- 힙합(Hip Hop)을 활용한 유아영어지도가 음운인식과 흥미도에 미치는 효과
- 과학 · 수학 내용 중심 초등 영어 교재 분석 준거 개발 및 적용
- The Diagnosis of the Effectiveness of a Native Teacher in Co-teaching: Based on Survey Results in Korean Public Schools
- 중등 영어교사들의 다독 체험이 읽기 동기 부여 및 자신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
- 의미장 중심의 영어 어휘 지도 모형 개발(I)
- 발음 연계 어휘 학습을 통한 중학생의 어휘 기억 신장 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