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 있다' 구문의 통합 제약 현상에 대하여
이용수 462
- 영문명
- On the verb constraints in ‘-eo issta’ constructions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구종남(Jong-nam, Koo)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第63輯, 5~3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3.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eo-issta’ representing the function of resultative aspect, has constraints on the verbs which occur before it. It has been widely accepted that only the intransitive verbs vvhich has telicity as their aspcetual character, can occur as V1 in V1-eo-issta' constructions. We can call the verb constraint semantic, and the transitive verb constraint syntactic. But semantic ∞nstraint cannot be explained fully by telicity condition
which demand V1 to be telic verb, Because there are many examples which telicity condition cannot explain. So some other argument were offered to elucidate the semantic constraints: existence condition, resultative
condition, etc. But these arguments have defects, too. So I offered cognitive condition to explain the semantic constraints,For the explanation of syntactic constraints there have been several suggestions: existence codition , '-eo iss-' syntagmatic constrain t, and dynamic condition. But they could not solve the problem of the syntactic constraints completely. So, in this paper I argued that thematic role can solve the problem ‘V1-eo-issta’ compositionally assigns ‘theme’ role to subject. Therefore in the transitive verb sentences object cannot be assigned thematic role, ‘theme’, because this thematic role is assigned to subject by‘V1-eo issta'. Assigning theme to object violates the thematic criterion. Therefore the ungrammaticality of transitive verb sentences is explained by thematic criterion.
목차
1. 서론
2. '-어 있다' 구문의 상적 특성과 제약
3. 'Ⅴ1-아 -있다' 구문의 Ⅴ1 제약 조건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 있다' 구문의 통합 제약 현상에 대하여
- 민족 해방에 대한 열망과 탈식민·탈주체로서의 저항문학
- 명사구 접근가능성 계층(NPAH)의 유표성 정도와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특성
- 전봉건 시의 반복, 변주, 변용 기법 고찰
- '비창(悲愴)'의 두 가지 양상
- 송욱 시에 나타난 자연과 생명
- <조카의 반심을 교화한 토정> 전설의 역사의식과 역사배경
- 임화의 서정주 시 비평의 논리와 근거
- 정약용(丁若鏞) 전(傳)의 명명(命名)과 주제(主題) 구현 방식
- 박완서 소설의 정신분석학적 고찰
- 학습자 언어와 문법 교육
- 예산군 대술지역 동제 연구
- 『어우야담 』 소재 인물담 연구 (1)
- 접두사 '맨-'과 '민-'의 의미 연구
- 한국어 단모음 7개에 대한 한국인과 중국인의 음향 분석
- 지명어에 나타난 경음화 양상 고찰
- 에코페미니즘의 지향과 여성성의 복원
- 김수영 시론 '시여, 침을 뱉어라'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