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김수영 시론 '시여, 침을 뱉어라' 연구
이용수 1,167
- 영문명
- A study of Kim Soo Young’s essay on poetry Poetry, do spit it out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곽효환(Hyo-hwan, Kwak)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第63輯, 245~27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3.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Kim soo Young carried over the casual life together with the strong consciousness of times to his poetic world. This is the element which tightly combines life and literature for him. His poetry has a tough and wild voice
revealing the identity of the lower middle class without mercy while jeering and scolding unsparingly about the backwardness of the society. politic, and Culture. Kim Soo Young's prose not only reflects consistently all those characteristics but also positively supports them. So poetry and prose with alI the works left by Kim Soo Young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howing intertextuality to add mutual meanings and have an effect of clear
interpretation. Kim Soo Young's essay on poetry has a high level of completeness doing a reliable self-interpretation about his own poetries. Also he is a strong influence beyond time and space providing pure consciousness of one period as a meaningful literary experience. Kim sao Young’s an essay on poetry(prose) plays the role of a clamp enabling life with poetry and prose to become one and all. Especially the essay on poetry Poem, do spit it out is evaluated as the representing essay in the aspect of combining it's forms and contents in a 'whole' and integrating his poetry and poetic perspective and having a poetic implementation. The significants of this essay on poetry is that his poetry is not just only an essay on poetry existing outside of the poetry but implements 'simultaneously', 'instantly' in real to the whole and it can be confirmed in his individual works. Kim Soo Young considered the poetry which 'forms' and 'contents' are one and the same standing in the middle of the tight tension polarized into the 'concealment of ground' and the 'World's progress' is the essence of αletry and he implemented this ‘whole body’ poetry.
목차
1. 김수영의 시와 시론
2. '시여, 침을 뱉어라'의 위치와 의미
3. 맺는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 있다' 구문의 통합 제약 현상에 대하여
- 민족 해방에 대한 열망과 탈식민·탈주체로서의 저항문학
- 명사구 접근가능성 계층(NPAH)의 유표성 정도와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특성
- 전봉건 시의 반복, 변주, 변용 기법 고찰
- '비창(悲愴)'의 두 가지 양상
- 송욱 시에 나타난 자연과 생명
- <조카의 반심을 교화한 토정> 전설의 역사의식과 역사배경
- 임화의 서정주 시 비평의 논리와 근거
- 정약용(丁若鏞) 전(傳)의 명명(命名)과 주제(主題) 구현 방식
- 박완서 소설의 정신분석학적 고찰
- 학습자 언어와 문법 교육
- 예산군 대술지역 동제 연구
- 『어우야담 』 소재 인물담 연구 (1)
- 접두사 '맨-'과 '민-'의 의미 연구
- 한국어 단모음 7개에 대한 한국인과 중국인의 음향 분석
- 지명어에 나타난 경음화 양상 고찰
- 에코페미니즘의 지향과 여성성의 복원
- 김수영 시론 '시여, 침을 뱉어라'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