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Logic and Basis in Imhwa's Criticism of Seo Jung-ju’s Poems - Parallax 2 represented in Imhwa’s criticism -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김수이(Su-yee, Kim)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第63輯, 271~29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3.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begins with the reflections self-examination about existing studies that put in order Imhwa's criticism and literature on the foundation of materialstic reason and socialistic realism. lmhwa's criticism includes large and small parallax etc, and lmhwa explicitly utilizes parallax as a concept tooI for 'divine surplus’ and 'creative criticism’ This can be said to result from recognition and approval as, actually and politically, one of 'reflective regulations' against materialistic dialectics and socialistic realism and. literarily, of various differences existing in the reality as productive power of literary works. lmhwa. stressing breaks/gaps the reality itself created. that is, dynamic motility of 'surplus' , defines this as the foundation for inherent and creative criticism. Imhwa's poems criticism play a surplus role lmhwa's total criticism and Imhwa discovers 'divine surplus', the new method of life of m띠ern times and new sphere of m띠ern poems, from sea Jeong-ju's poems that escaped from the sphere of materialistic reason and realism criticism.
This, as ‘a scamper in a prison’ named modern times which do not discern an action of secession and return, is connected with irony of modernity. One is irony that dissolves and simultaneωsly materializes maintaining a dual attitude of life of secession and return, and the other is irony that modern poems and art are create and simultaneously suppressed through fatal parallax with modem world/order.
목차
1. 서론
2. '신선한 잉여', 임화의 '창조적 비평'론의 토대
3. 임화의 서정주 시 비평의 논리와 근거 - ' 신선한 잉여'의 시적 풍경
4.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박완서 소설의 정신분석학적 고찰
- <조카의 반심을 교화한 토정> 전설의 역사의식과 역사배경
- '-아 있다' 구문의 통합 제약 현상에 대하여
- '비창(悲愴)'의 두 가지 양상
- 한국어 단모음 7개에 대한 한국인과 중국인의 음향 분석
- 지명어에 나타난 경음화 양상 고찰
- 예산군 대술지역 동제 연구
- 에코페미니즘의 지향과 여성성의 복원
- 학습자 언어와 문법 교육
- 접두사 '맨-'과 '민-'의 의미 연구
- 김수영 시론 '시여, 침을 뱉어라' 연구
- 전봉건 시의 반복, 변주, 변용 기법 고찰
- 송욱 시에 나타난 자연과 생명
- 민족 해방에 대한 열망과 탈식민·탈주체로서의 저항문학
- 명사구 접근가능성 계층(NPAH)의 유표성 정도와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특성
- 임화의 서정주 시 비평의 논리와 근거
- 정약용(丁若鏞) 전(傳)의 명명(命名)과 주제(主題) 구현 방식
- 『어우야담 』 소재 인물담 연구 (1)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 교육을 위한 간접인용문에서의 인용동사 시제 선택 - 형식적 요인과 화자 요인을 중심으로
- 전승 한자음에서의 설·치음 뒤 j계 상향이중모음의 단모음화 과정 연구 - 『왜어유해』·『아학편』·『국한회어』 분석을 중심으로
- 일제강점기 웅변서적 연구 - 유형별 검토 및 사회적·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