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과 미국 중학교 학생들의 읽기수업에서의 학습동기 비교 연구
이용수 167
- 영문명
- Comparing motivation to learn of reading classes between Korean and American middle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허유성(Yusung Heo) 최지영(Jiyoung Choi) 이우진(Woojin Lee)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17집 제4호, 45~6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1.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미국 중학교 학생들의 읽기수업에서의 학습동기를 비교하였다. 일반적으로 학습동기는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인 요인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국내 교실수업실태조사 연구에 의하면 학생들의 수업동기에 심각한 문제가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른 국가와 상대적 비교를 통해 한국 읽기수업에서의 학생들의 학습동기 수준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중학교 1학년 읽기수업 교사 5명과 학생 272명이 참가했으며, 그 중 학습장애 및 저성취 학생이 63명이었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한국 학생들이 미국 학생들에 비해 자기효능감, 자신감, 학습지향동기, 개인적 인지활동, 분배적 인지활동에서 모두 낮게 나타난 반면, 시험불안과 표층적 인지에서 미국 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한국 학생들의 학습동기 수준이 미국 학생들에 비해 부정적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논의 및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교육적 시사점과 한계를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otivational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American students enrolled in a middle school. Language Arts classes. 5 teachers and 272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Precious studies reported that Korean students were not fully motivated in classroom activities. Consequently, low motivation to learn affects negatively their school life including achievement and life-long reading activities. The MANOVA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countries in self-efficacy, test anxiety, subjective competence, learning orientation, and strategy activities including individual activity, surface-level activity, and distributed activity favoring American students' motivation to learn. This findings imply that Korean Language Arts class need to be changed to improve students motivation to learn. The implications for educator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based 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에게 부여된 지위와 역할의 교육적 의미
- 학력향상 지원에 대한 학부모와 교사의 견해 비교 분석
- 다인수 수업에서의 PBL 튜터 역할에 대한 연구
- 창의적 인성과 성취목표 동기와의 관계연구
- 과학영재 중학생과 일반 중학생의 문제발견의 차이
- 전문계 남자고등학생을 위한 대중매체 활용 성의식 증진 프로그램 개발
- 협동학습에서 학생들의 긍정적 및 부정적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범교과적 학습영역 중심의 초등학교 통합학습 자료 개발 및 적용 연구
- 초등학교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가해행동간의 관계에서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류
- 대안학교 예술-체육 계열 교과 통합 현황에 관한 사례 연구
- 중학생의 자살생각과 공격성 및 귀인성향의 관계 분석
- ADHD 아동의 학교기반 중재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구성의 예비연구
- PBL과 온라인 토론을 적용한 방과 후 실험수업의 효과
- 초등학교 체육교육의 변화가능성과 발전 방향
- 한국과 미국 중학교 학생들의 읽기수업에서의 학습동기 비교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제주이해(제주정체성)교육으로 살펴본 인정도서 『제주배움』: <탐라개국신화> 주제를 중심으로
- 대통령 탄핵 사건을 통해 본 초등학생의 정치 현안 인식과 사회과 수업의 시사점
- 사회과 감정지도화 프로젝트 수업을 통한 학교 공간의 장소감 변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