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체육교육의 변화가능성과 발전 방향
이용수 123
- 영문명
- The Possible Changes and Development Courses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이종형(Lee, Jong Hyoung) 최상락(Choi, Sang Lak)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17집 제4호, 365~39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1.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초등체육교육에 대한 현실적인 문제를 분석하고 초등체육교육에 대한 인식, 체육교육과정, 체육장학 및 행정, 체육시설 및 교구 등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초등체육교육의 변화 가능성을 탐색하여 초등체육이 발전되어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초등체육교육에 대한 전문가 집단으로 체육교육행정가 20명, 체육교육전문가 20명, 교육행정가 20명, 교육전문가 20명 등 80명을 선정하여 3차례의 델파이 설문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초등체육교육의 정상화 · 내실화를 위해서는 교육행정가와 교사 모두 초등체육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적극적인 자세로 초등체육에 대한 전문성과 책무성을 신장하여야 한다. 둘째, 초등체육과 교육과정은 교사와 학생이 수월하게 배우고 가르칠 수 있으며 변화에 빠르게 대처하기 위한 유연성과 현실성이 있는 교육과정이 운영되어야 한다. 셋째, 교수 · 학습 방법의 질 개선을 위한 다양한 장학 프로그램의 개발과 일관성이 있고 실천적인 체육장학 및 행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학급당 인원수가 감소하고 체육관, 수영장이 늘어나는 등 체육시설 환경이 호전되고 있으나 체육시설 및 교구의 현대화 · 선진화를 위한 복합적인 체육시설 인프라를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purposed to analyze practical problems, find out recognition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EPE), curriculum, supervision, administration, facilities, teaching tools and other problems, explore possible changes and provide future development courses of EPE. In order to meet the purpose, the study first examined understandings about EPE. Using the Delphi method, the study asked four groups of EPE professionals: physical education administrators(20), professionals of physical education(20), education administrators(20), education professionals(20) with third round Delphi questionnaires. SPSS 10.0(a statistics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Median, mean, quartiles and standard deviation of possible changes and hope scale were found. F-probe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professional group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education administrator and teachers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PE and extend professionalism and a sense of responsibility in order to normalize and substantialize EPE. Second, a flexible, practical curriculum should be performed in order to ensure to teach and learn with no difficulty in doing and to cope with changes quickly. Thir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ing/learning methods, various supervis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coincident, practical supervision and administration should be performed. Fourth, physical education surroundings, including gyms and swimming pools, are being improved and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are being decreased. But, complex physical education infrastructure should be established in order to ensure modernization and advancement of physical education facilities and teaching tool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에게 부여된 지위와 역할의 교육적 의미
- 학력향상 지원에 대한 학부모와 교사의 견해 비교 분석
- 다인수 수업에서의 PBL 튜터 역할에 대한 연구
- 창의적 인성과 성취목표 동기와의 관계연구
- 과학영재 중학생과 일반 중학생의 문제발견의 차이
- 전문계 남자고등학생을 위한 대중매체 활용 성의식 증진 프로그램 개발
- 협동학습에서 학생들의 긍정적 및 부정적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범교과적 학습영역 중심의 초등학교 통합학습 자료 개발 및 적용 연구
- 초등학교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가해행동간의 관계에서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류
- 대안학교 예술-체육 계열 교과 통합 현황에 관한 사례 연구
- 중학생의 자살생각과 공격성 및 귀인성향의 관계 분석
- ADHD 아동의 학교기반 중재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구성의 예비연구
- PBL과 온라인 토론을 적용한 방과 후 실험수업의 효과
- 초등학교 체육교육의 변화가능성과 발전 방향
- 한국과 미국 중학교 학생들의 읽기수업에서의 학습동기 비교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