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범교과적 학습영역 중심의 초등학교 통합학습 자료 개발 및 적용 연구
이용수 328
- 영문명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ntegrated Learning Materials in Elementary School: Focusing on Cross-Curricular Learning Areas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소경희(So, Kyung Hee) 이상은(Lee, Sang Eun) 박정열(Park, Jeong Yeol) 김지영(Kim, Ji Young)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17집 제4호, 21~4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1.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의 급변하는 사회변화는 종래에 다루어 왔던 교과 이외에 새로운 범주의 학습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범주의 학습은 대개의 경우 여러 교과 간에 걸쳐 학습이 가능한 범교과적 성격의 주제나 능력에 해당하는 것으로, 교과 간 통합학습을 통해서 적절히 다루어질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의 사회변화 속에서 새롭게 요구되는 범교과적 학습영역을 다루기 위한 교과간 통합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이것의 적용 효과를 탐색해 보기 위한 것이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비교적 교과 간 통합학습이 용이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하되, 국가 수준에서 통합 교육과정이 제공되고 있지 않는 3-6학년의 범교과적 학습영역을 지원하기 위한 자료 개발에 초점을 두었다. 연구 목적을 위해 이 연구에서는 첫째, 범교과적 학습영역 중심의 통합학습 자료를 개발하기 위한 과정을 구조화하였다. 둘째, 구조화된 자료 개발 과정에 따라 범교과적 학습영역 중심의 예시적인 통합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셋째, 개발된 통합학습 자료를 초등학교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탐색해 보았다.
영문 초록
Recently, rapid social change requires new categories of learning besides existing subject matters. In the majority of cases, these types of learning are related to cross-curricular learning areas, including cross-curricular themes and skills, which can be addressed by integrated learning across several sub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integrated learning materials in order for elementary teachers to appropriately teach cross-curricular themes and skills, and examine the effect of its applica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supporting grades 3rd through 6th elementary students for whom an integrated curriculum was not provid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In order to accomplish the goal of this study, we did the following: First, we structuralized the process to develop integrated learning materials based on cross-curricular learning areas. Second, we developed integrated learning materials focusing on cross-curricular learning areas by way of example. Third, we examined the effect of application of these developed integrated learning materials in elementary school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에게 부여된 지위와 역할의 교육적 의미
- 학력향상 지원에 대한 학부모와 교사의 견해 비교 분석
- 다인수 수업에서의 PBL 튜터 역할에 대한 연구
- 창의적 인성과 성취목표 동기와의 관계연구
- 과학영재 중학생과 일반 중학생의 문제발견의 차이
- 전문계 남자고등학생을 위한 대중매체 활용 성의식 증진 프로그램 개발
- 협동학습에서 학생들의 긍정적 및 부정적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범교과적 학습영역 중심의 초등학교 통합학습 자료 개발 및 적용 연구
- 초등학교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가해행동간의 관계에서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류
- 대안학교 예술-체육 계열 교과 통합 현황에 관한 사례 연구
- 중학생의 자살생각과 공격성 및 귀인성향의 관계 분석
- ADHD 아동의 학교기반 중재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구성의 예비연구
- PBL과 온라인 토론을 적용한 방과 후 실험수업의 효과
- 초등학교 체육교육의 변화가능성과 발전 방향
- 한국과 미국 중학교 학생들의 읽기수업에서의 학습동기 비교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Enhancing Learners’ Convergence Competency through VR Design-Based STEAM Education
- In-Context Learning을 통한 서·논술형 평가에서의 대형 언어 모델과 교사 간 채점 및 피드백 정합성 향상 방안
-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Beliefs about Intelligence, Goal Orientation, and Cognitive Task Engagement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