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협동학습에서 학생들의 긍정적 및 부정적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이용수 733
- 영문명
- The actions and interactions between content and social aspect in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situation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도승이(Seung Lee Do)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17집 제4호, 119~14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1.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회적 구성주의에서 강조한 협동학습 상황에서 대학생의 과제적 요소와 사회적 요소가 어떻게 학생의 사고 및 동기의 과정과 학습결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이를 긍정적 과정과 부정적 과정으로 구분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 8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한 자료는 근거이론 분석법을 사용하여 개방코딩과 축 코딩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과제적 요소와 사회적 요소 관점에서 긍정적, 부정적 협동학습의 조건과 협동학습 과정과 그 결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협동학습 과정에서는 조원이나 본인이 이해가 잘 안될 때, 의견 대립 시 합의도달 과정으로 구분하고, 협동학습의 결과에서는 과제적 요소와 사회적 요소로 구분하였으며, 학생들이 협동학습 상황에서 경험하는 인지적, 정의적 요소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분 연구의 시사점과 추후 연구의 제안 등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tudents'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situation. Data sources included the interciews from 8 students who are participating in cooperative learning situation. Open, axial coding resulted in the following categories: 1) the conditions of cooperative learning situation that are positively and negatively perceived by students, 2) the students'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s during cooperative learning situation, 3) the consequences from students'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s in cooperative learning situation. Additionally, making jokes during discussion, developing closeness among students, and students' expectation of the instructors' help were discusse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에게 부여된 지위와 역할의 교육적 의미
- 학력향상 지원에 대한 학부모와 교사의 견해 비교 분석
- 다인수 수업에서의 PBL 튜터 역할에 대한 연구
- 창의적 인성과 성취목표 동기와의 관계연구
- 과학영재 중학생과 일반 중학생의 문제발견의 차이
- 전문계 남자고등학생을 위한 대중매체 활용 성의식 증진 프로그램 개발
- 협동학습에서 학생들의 긍정적 및 부정적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범교과적 학습영역 중심의 초등학교 통합학습 자료 개발 및 적용 연구
- 초등학교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가해행동간의 관계에서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류
- 대안학교 예술-체육 계열 교과 통합 현황에 관한 사례 연구
- 중학생의 자살생각과 공격성 및 귀인성향의 관계 분석
- ADHD 아동의 학교기반 중재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구성의 예비연구
- PBL과 온라인 토론을 적용한 방과 후 실험수업의 효과
- 초등학교 체육교육의 변화가능성과 발전 방향
- 한국과 미국 중학교 학생들의 읽기수업에서의 학습동기 비교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