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육 공공성 개념과 교육제도의 변화
이용수 953
- 영문명
- The idea of educational publicness and the change of educational institu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 저자명
- 박청미(Park, Cheong Mi )
- 간행물 정보
- 『교육사상연구』교육사상연구 제21권 제3호, 159~18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교육제도의 변화와 변화의 내적 기제에 대한 관심으로, 교육 공공성 개념과 교육제도 변화의 관계를 드러내려고 하는 논문이다. 이 글에서 제도란 장기간에 걸친 인간행동의 정형화된 패턴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도에 관한 변화의 내적 기제를 살펴본다는 것은 제도의 변화를 인간행동의 선택과 관련하여 살펴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 글에서는 인간행동의 선택이 그가 지닌 개념-담론의 향상과 관계되는 개념과 깊은 상관이 있다고 가정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제도 변화와 변화의 내적 기제에 대한 이와 같은 가정-교육 공공성 개념이 교육제도 변화의 내적 기제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한 이론적 타당성을 찾아보고, 실제로 그것이 어떻게 가능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도 함께 살펴보려는 데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우선은, 이 글에서 교육제도 변화의 내적 기제로 삼게 된, 교육 공공성 개념과 관련한 최근 담론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최근 논의 가운데에서 교육 공공성 개념에 대한 간극을 발견하고, 담론의 향상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이러한 간극을 규명함으로써 가능해질 것으로 보았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역사적 제도주의의 최근 이슈, 교육역사사회학의 논의, 칸트『판단력비판』의 개념어들을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보았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실제로 최근 교육 동향에 대한 인식을 고려하여 교육 공공성에 대한 개념화를 시도해 보았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is intended to make offer a logical foundation about the change of educational institution related in idea and conceptualization of educational publicness.
With this in mind, this article is examined in several arguments as for educational publicness, from anti-neo-libertarian, conceptual categorization to the grade of educational policy. And in this theme, there is discovered a gap between the grade of categorization of concept and the argument as for the grade of educational policy.
The gap is dued to the difference of conceptual categorization, determining categorization or reflective categorization as for the range of the educational publicness and the public educational system. This article is intend to fill a gap of this, based on issue of the historical instituionalism, Kant's language on the『Critique of Judgement』and the historical sociology of education.
Therefore, we can confirm the educational publicness is value judgemental, social constructual, and be related in creation of altanative life. And we can suggest the vector of change in the public educational system will be transformed, depending on the reflective categorization as for educational publicnes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 성인 문해능력 수준 결정요인의 변화 양상: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14년과 2023년 비교 연구
-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렉섬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